•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문화답사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불교 이야기
  • 컬럼
UPDATA : 2021년 03월 07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문화답사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불교 이야기
  • 컬럼
  • HOME
  • 여행

여행

천년유산을 간직한 천안 성불사

천년유산을 간직한 천안 성불사천안에는 사찰이 여럿 있고 저마다의 특색이 있는데, 그중 성불사도 마찬가지이다. 성불사 일주문을 지나 언덕길을 조금 올라오면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는 말라버린 담쟁이 덩쿨로 뒤덮인 돌담과 돌계단이 나타난다.  수령 500년 이상이 아

문화답사 유시문 기자 2021-03-01 19:35

한국관광공사 경남지사 선정…코로나 시대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는 곳

한국관광공사 경남지사 선정…코로나 시대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는 곳 경남 하동군은 청학동 삼성궁이 한국관광공사 경남지사가 선정한 ‘경남 안심나들이 10선’에 올랐다고 3일 밝혔다.경남 안심나들이 10선은 코로나 시대 여행지 방역을 일상화하는 분위기를 확산하고 침체된 관

문화답사 유시문 기자 2021-02-18 10:33

못생긴 고기 곰치 ·· 겨울철 최고의 숙취해소 해장국, 곰치국

못생긴 고기 곰치 ·· 겨울철 최고의 숙취해소 해장국, 곰치국담백하고 입에서 살살 녹아내리는 듯 연한 육질이 특징인 곰치를 재료로 만든 곰치국은 강원도 삼척 지방의 향토 음식이다. 지역에 따라 물텀벙, 물메기, 물고미라는 이름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는 곰치의 표준어는

여행 유시문 기자 2021-02-15 20:25

역사의 굴곡진 흔적을 따라 걷다 호국의 섬, 강화도

역사의 굴곡진 흔적을 따라 걷다 호국의 섬, 강화도강화도 바람 참 모질고 거칠다. 그 탓에 나뭇가지에 붙어 있던 마지막 잎마저 나무와 이별을 고하고 바닥에 나뒹군다. 삭풍에 떨어진 낙엽이 차곡차곡 쌓이듯 역사의 흔적이 켜켜이 쌓여 하나의 풍경이 된 섬이 있다. 바로 호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7 13:06

겨울왕국처럼 아름다운 전국 설경 4

겨울왕국처럼 아름다운 전국 설경 4새해에는 지친 일상을 떠나 눈처럼 새 하얀 힐링을 위해 전국에 있는 아름다운 설경을 보러 떠나보자.오대산 선재길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월정사), 오대산로 1211-14(상원사)이미지 -  한국관공사첫 번째로

여행 유시문 기자 2021-01-16 13:29

까다로운 입맛도 만족시키는 충북 맛 기행

까다로운 입맛도 만족시키는 충북 맛 기행TRAVEL STORY청동기부터의 오랜 역사와 천혜의 자연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보물 같은 여행지, 충북. SRT매거진과 한국관광공사 세종충북지사가 함께 충북의 숨겨진 매력을 하나씩 소개합니다.때때로 전국을 여행하며 그 지역 대표

여행 유시문 기자 2021-01-14 16:00

2021년 꼭 가봐야할 여행지 BEST 5

2021년 꼭 가봐야할 여행지 BEST5그 어느 때보다 여행지를 신중히 고르고 골라 여행한다. 이렇게 고심 끝에 찾아간 여행지는 마치 운명과 같은, 좀 더 거창하게 말하면 숙명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SRT매거진 독자가 꼽은 올해 첫 Best 여행지 5곳. 한층 성숙해진

여행 유시문 기자 2021-01-14 15:23

화성 홍법사

홍법사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에 위치해 있으며, 1376년(우왕 2)에 한 비구니가 화성군 정남면 탑상골에 창건한 것을 1841년(헌종 7)봉담면으로 이전, 중건하였다. 그 뒤 도둑의 잦은 출몰로 1934년 덕수(德修)가

문화답사 유시문 기자 2021-01-09 20:18

화성 실크로드길

화성 실크로드길화성 실크로드길 전구간도제부도, 궁평항, 궁평항 해송숲 거기에 당항성길, 황금해안길, 제부 제비꼬리길, 홍랑길 등 새롭게 조성된 길을 걸으면 뒤였뉘였 땅거미가 아득한 수평선으로 넘어가는 풍광이 처연하고도 곱다. 어느 곳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그래서 생애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6 14:22

근심이 사라지는 이곳 해우소(解憂所)

근심이 사라지는 이곳 해우소(解憂所)절 집에서는 변소를 해우소(解憂所)라 한다. 즉 '걱정과 근심을 해결해주는 곳'이라는 뜻이다. 걱정 중에서 큰 걱정은 대소변의 배설일 진데, 해우소야 말로 기가 막히게 화장실을 잘 표현한 말이다. 해학과 낭만이 있는 이름이 옛 스님들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6 12:57

역사의 굴곡진 흔적을 따라 걷다 호국의 섬, 강화도

역사의 굴곡진 흔적을 따라 걷다 호국의 섬, 강화도바람 참 모질고 거칠다. 그 탓에 나뭇가지에 붙어 있던 마지막 잎마저 나무와 이별을 고하고 바닥에 나뒹군다. 삭풍에 떨어진 낙엽이 차곡차곡 쌓이듯 역사의 흔적이 켜켜이 쌓여 하나의 풍경이 된 섬이 있다. 바로 호국의 섬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1 11:31

매서운 겨울, 서른네 번의 손이 가야 맛볼 수 있는 황태

매서운 겨울, 서른네 번의 손이 가야 맛볼 수 있는 황태한국인에게 친숙한 생선 명태를 겨울에 눈을 맞혀가며 얼렸다 녹였다 반복하며 말린 것을 황태라고 한다. 눈이 오지 않고 포근한 날이 계속되면 검은빛의 먹태가 된다. 강원도 진부령에는 황태덕장이 있다. 옛날처럼 덕장에

여행 유시문 기자 2020-12-26 18:32

6·25전쟁의 최초 격전지(오산, 죽미령)와 유엔군 초전기념비

6·25전쟁의 최초 격전지(죽미령)와 유엔군 초전기념비유엔군 초전기념비는 유엔군이 6・25전쟁 당시 북한군을 상대로 벌인 최초의 전투에서 전사한 군인들의 넋을 위로하는 기념비이다. 6・25전쟁 발발 10일 만에 유엔군 선봉대인 미 제24사단 540명이 격전을 벌인 곳에

문화답사 유시문 기자 2020-12-20 10:33

만추(晩秋)에 길을 나서다

만추(晩秋)에 길을 나서다 산사의 길토속신앙 일색이던 삼국시대 당시, 불교는 지배 세력에게 매우 구미에 당기는 신흥종교였다. 그들은 왕권 강화라는 명분을 숨기고 불교를 통합하여 수용하였다. 그러나 핵심은 변하지 않았다. ‘나’를 향한 진리 탐구와 해탈에 이르는 길이 그

문화답사 유시문 기자 2020-12-19 15:01

청도 맑은 추어탕

미꾸라지와 민물생선의 컬래버레이션, 청도 추어탕청도 추어탕은 미꾸라지와 민물고기를 함께 넣어 맑게 끓여낸 경상북도 청도군의 향토 음식이다. 청도에는 미꾸라지보다 민물고기가 풍부한데, 이 때문에 청도 추어탕은 미꾸라지와 민물고기를 섞어 맑게 끓여내는 것이 특징이다. 미꾸

여행 유시문 기자 2020-12-19 14:30

  • 1
  • 2
AD

최신기사

2021-03-05 13:06
뉴스

국립고궁박물관의 3월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은

2021-03-04 20:46
뉴스

33개 지역 문학관 상주 작가들의 활동을 지원한다

2021-03-04 20:43
뉴스

평창올림픽 유산 이어받은 신남방 선수들, 국제대회 첫 출전

2021-03-04 20:35
문화

현대와 견줄 만한 조선 국왕의 민주적 민원 해결

2021-03-04 20:14
문화답사

신라 첫 불교신자의 집에 있는 우물, 전모례가정

인기기사

  • 1

    한국관광공사 경남지사 선정…코로나 시대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는 곳

  • 2

    못생긴 고기 곰치 ·· 겨울철 최고의 숙취해소 해장국, 곰치국

  • 3

    천년유산을 간직한 천안 성불사

AD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