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 입구의 석비 – 하마비(下馬碑)

요즘 자주 듣는 단어에 하마평(下馬評)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하마비에서 유래됐다.

사찰 입구의 석비 – 하마비(下馬碑)

요즘 자주 듣는 단어에 하마평(下馬評)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하마비에서 유래됐다. 궁궐 밖의 하마비 앞에는 궁으로 들어가는 양반들을 말과 함께 기다리는 말잡이들이 모여 있었는데, 그들이 떠드는 대화 과정에서 정보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고 해서 하마평 이란 말이 되었다.

하마비(下馬碑)는 어떤 구역 앞을 지날 때 신분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석비(石碑)를 뜻한다. 이는 조선시대부터 종묘와 궐문 앞에 보통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 또는 하마비(下馬碑)라고 새긴 비석을 세워놓은 석비를 말한다. 또 왕장(王將)이나 성현, 또는 명사, 고관의 출생지나 왕릉 앞에도 확대되어 세워졌는데, 이는 선열(先烈)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타고 가던 말에서 내렸음을 알 수 있다.

한국에는 수많은 사찰이 있다. 사찰은 기도와 수행을 위한 종교적인 공간이었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기도와 수련만 하는 곳이 아니고 다른 의미의 경우도 있었다.

숭유억불 정책을 썼던 조선 시대에는 왕의 명복을 비는 능침 사찰로 이용되기도 하였고 주변의 산성 축조와 보수에 스님들이 동원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역참(驛站) 기능을 담당하는 역참 사찰도 있었는데 ,절 원(院)자를 사용한 충북 충주 미륵대원, 경북 안동 제비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렇게 사찰은 종교적인 수행 도량 외 다양했던 사찰의 기능이 있었다.

태종 13년(1413년)에 최초로 종묘와 대궐 문 앞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표목(標木)을 세웠는데 이것이 하마비의 기원으로, 하마비가 세워진 입구부터는 신분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려 걸어서 들어가야 하는데 말에서 내릴 때마다 고개를 숙이며 자연스럽게 경의를 표시하라는 뜻을 새긴 석비(石碑)이다.  태종실록에는 말에서 내리는 거리가 나와 있다. 1품 이하는 10보(步) 거리에서, 3품 이하는 20보 거리에서, 7품 이하는 30보 거리에서 말에서 내려야 한다. 1품은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조 등이다. 고위 관료는 5~7m, 중간관리는 10~15m, 하급 관리는 20m 앞에서 예의를 차려야 했다. 그런데 하마비 앞에서 모든 이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종묘, 궁가(宮家), 문묘에는 말을 타고 입장할 수 없다. 그러나 동헌의 경우에는 달랐다. 고을 수령보다 높은 벼슬아치는 말에서 내리지 않았다. 대구 감영에 있는 하마비에는 절도사이하개하마(節度使以下皆下馬)라고 적혀 있어 절도사 이하는 모두 내려라 라는, 뜻이며 어떤 곳에는 토포사이하개하마(討捕使以下皆下馬)라고 적혀 있는데 토포사 이하는 모두 내리라는 말인데 토포사(討捕使)는 현재 형사반장쯤이라고 한다.

하마비는 애초부터 불교의 유물은 아니고, 사찰 앞까지 확대된 것은 조선의 불교 탄압과 깊은 관련이 있다. 숭유 억불 정책을 썼던 조선 시대의 유생들이 사찰에 들어와 갖은 횡포를 벌이고 불기를 부수고 사찰의 보물을 훔치는 등 훼불 사건이 발생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조선 시대의 불교 후원자였던 문정황후(文定王后 1501~1565 조선 제11대 중종의 계비(繼妃)이며, 명종의 어머니)는 선교 양종의 수사찰(首寺刹)이었던 봉은사와 봉선사에는 유생의 출입을 금하고 주모자들을 투옥하자 유생들의 반발이 심했다. 급기야 봉은사 보우 대사(1515~1565)를 처벌해야 한다는 유생들의 상소에 화가 난 문정황후가 전국의 큰 사찰 입구에 다수의 하마비를 세우도록 명한 것이 사찰 하마비의 연유로 전해진다. 그 후 하마비가 서 있는 사찰은 유생들의 폭악(暴惡)에서 어느 정도 피해 갈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하마비는 사찰로까지 들어오게 된 것이다. 심지어는 하마비가 있는 사찰은 부역 면제와 각종 공출 등 부담을 덜 수 있었고, 하마비의 위력에 매력을 느낀 일반 사찰에서는 하마비를 유치하기에 애를 썼다고 전해진다.  현재 하마비가 남아있는 사찰은 많지 않다. 양산 통도사, 양주 봉선사, 부산 범어사, 대구 파계사, 남해 용문사, 순천 선암사, 송광사 의성 지장사, 서울 진관사 등의 사찰 입구에서 하마비를 볼 수 있다. 


                                                                  양산 통도사

                                          부산 범어사

                                           대구 파계사

                                               남해 용문사

                                         순천 선암사

                                            승주 송광사  (하승 이라고 새겨져 있다)

                                            의성 지장사

                                              서울 진관사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