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전과 대웅보전

 대웅전과 대웅보전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덕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을 좌우협시로 모신 법당이다 '대웅'은 진리를 깨달아 세상에 두루 펼친 위대한 영웅이라는 말이다 수덕사 봉정사 전등사 등에 대웅전이 있다

문수보살(文殊菩薩)은 완전한 지혜를 가진 보살이며 손에는 칼을 들고 사자 위에 올라타고 있다 문수보살은 성불하여 산시성 청량산(淸凉山)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문수보살의 인도발음이 '만주슈리'이다 누루하치가 여진족을 문수보살처럼 지혜롭다는 뜻으로 만주족으로 개칭했다

보현보살(普賢菩薩)은 중생을 위해 자비를 베푸는 보살이며 여섯 개의 이빨을 가진 흰 코끼리를 타고 있다 보현보살은 보살 가운데 으뜸으로 중생들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지고 중생을 교화한다


대웅보전(大雄寶殿)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좌우에 모신 법당이다 대웅전의 격을 한층 더 높여 과거불, 현세불, 미래불을 안치했다 내소사 마곡사 운문사 등에 대웅보전이 있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서방 극락정토의 주인이 되는 부처이며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현재까지 설법을 하고 있다 나무아미타불을 염불하면 깨달음을 얻어 고통이 없고 즐거움만 있는 정토로 갈 수 있다고 한다

약사여래(藥師如來)는 질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늘려주며 재난을 없애주는 부처이며 현세의 복락을 약속한다 약사여래는 동방의 극락세계를 주재하며 약사불을 만지거나 약사여래를 소리 내어 부르기만 해도 치료가 된다고 한다.


​대웅전은 중심에 불단을 설치하고 그 위에 불상을 모시고 예불과 불공, 기도, 법요 등 불교의 핵심 의식과 신앙 행위가 행해지는 장소이다. 이 불단을 수미단(須彌壇)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세계의 중심인 수미산 꼭대기에 부처님이 앉아 자비와 지혜의 빛을 발하고 있다는 불교의 세계관을 상징하는 것이다. 내부는 다른 어떤 건물보다 화려하고 장엄하게 만드는데, 특히 목조보개 및 불단의 조각은 매우 섬세하여 목조공예의 진수를 보여준다. 꽃무늬와 천의를 날리는 비천으로 불단 주변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주불 위에는 닫집인 천개를 만들어 화엄의 여의주를 입에 문용과 극락조 등으로 장식한다.


천장에는 보상화무늬[寶相華紋]와 연꽃무늬 등을 조각하여 불전(佛典)에 나오는 천우보화(天雨寶花)의 의미를 상징한다. 대웅전에는 많은 탱화(幀畵)들을 봉안하는데, 석가모니불의 후불탱화로는 주로 부처님이 영축산에서 제자들을 모아 설법하는 광경을 묘사한 영산회상도(靈山會相圖)를 봉안한다. 그러나 주존불로 삼신불 또는 삼세불이 봉안될 경우에는 삼여래(三如來) 탱화를 모신다. 또한 신중(神衆)을 모신 신중단에는 신중탱화를, 영가(靈駕)를 모신 영단에는 감로(甘露) 탱화를 봉안한다.


​충청남도 예산군의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 경상북도 안동시의 봉정사대웅전(보물 제55호), 충청남도 서산시의 개심사 대웅전(보물 제143호), 경상남도 양산시의 통도사 대웅전(보물 제144호), 충청남도 청양군의 장곡사 상대웅전(보물 제162호)·하대웅전(보물 제181호), 전라남도 구례군의 화엄사대웅전(보물 제299호),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대웅전(보물 제500호), 충청북도 청원군의 안심사대웅전(보물 제664호) 등이 대표적이다.

  보물 291호 내소사 대웅보전


보물 801호 마곡사 대웅보전


보물 835호  운문사 대웅보전


국보 49호  수덕사 대웅전


국보 311호 봉정사 대웅전


보물 500호 쌍계사 대웅전


사진출처( 네이버 )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