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실상사(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는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한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다.

국보 제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실상사(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는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한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다. 이 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이 나타나는데,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부속암자로, 그 아래 경작지에 이 탑이 세워져 있다.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되는 이 탑은 갖가지 모습들의 조각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등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구조가 돋보이고 있어, 당시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석탑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백장암은 신라 흥덕왕 3년(828년) 홍척대사(洪陟大師)가 창건한 실상사의 참선도량이다.
암자 이름이 된 '百丈'은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말라'고 유명한 법문을 남긴  중국의 선승(禪僧)의 이름이다.


암자 이름에서 어떤 수행자라도 하는 일 없이 놀고먹지 말라는 백장스님의 준엄한 꾸지람이 담겨 있는 것이다. 실상사와 같은 시대인 9세기 초에 창건되었으며, 실상사가 선풍(禪風)을 떨칠 때에는 실상산파(實相山派)의 참선도량으로 이용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실상사가 폐허화되었을 때는 약 200년 동안 실상사 승려들이 이 절에서 머물렀다고 한다.
현재의 당우로는 인법당(人法堂)과 칠성각·산신각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남아 있는 당우지(堂宇址)로 보아 상당히 규모가 컸던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고, 중요문화재로는 국보 제10호인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과 보물 제40호인 실상사백장암석등, 보물 제420호인 백장암청동은입사향로(百丈庵靑銅銀入糸香爐)가 있다.

백장선원 올라 가는 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南原實相寺百丈庵三層石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높이 5m이며, 전체를 화강암으로 건조한 이 석탑은, 현재의 백장암 남쪽 아래 경작지에 남아 있어 석탑 바로 뒤에 서 있는 석등과 같이 원위치로 생각되며, 그 북쪽에 법당지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뚜렷한 점으로 보아 본래는 백장암이 이곳에 경영되었을 것이다.




측면

3층탑신과 상륜부

초층탑신의 사천왕상(다문천)과 동자상

문비와신장상

이층탑신(塔身)주악천인상


이 석탑은 기단부의 구조와 각부의 장식적인 조각에서 특이한 양식과 수법을 보여주는, 이른바 공예적인 이형석탑(異形石塔)이라고 하겠다.

기단부는 네모난 지대석 위에 별개의 돌로 탑신 굄대를 조성하여 얹고 그 위에 3층의 탑신을 건립하였다. 그런데 굄대의 상면에는 별다른 조각이 없으나 측면에는 사방에 난간형을 돋을 새김하여 둘러서 흥미롭다.
탑신부에서는 초층옥신이 너비에 비하여 높으며 2·3층의 옥신도 감축도가 많지 않아 또한 특이한 면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옥개석은 각 층 모두 처마가 직선이고 네 귀 전각의 반전이 경쾌하며 낙수면(落水面)도 평박하여 신라석탑의 일반적인 법식을 따르고 있으나 그 하면은 층급을 이루지 않고 있어 이것도 또한 특수한 점이라 하겠다.
상륜부는 약간 결손된 부분도 있으나 방형의 노반석 위에 복발(覆鉢)·보륜(寶輪)·보개(寶蓋)·수연(水煙: 탑의 구륜 윗부분에 불꽃 모양으로 만든 장식) 등 부재가 정연하게 완전한 찰주(擦柱: 탑의 중심기둥)에 차례로 꽂혀 있음은 희귀한 유례라 할 것이다.

이 석탑은 이와 같이 각 부의 구조가 특이할 뿐만 아니라, 탑신부의 옥신과 옥개석 밑에 섬세하고도 화려한 조각이 가득히 조식(彫飾)되어 더욱더 주목된다.

즉 초층옥신석 사면에는 보살입상과 신장상 2구씩을, 2층옥신 각 면에는 주악천인상(奏樂天人像) 2구씩을, 3층의 사면에는 1구씩의 천인좌상(天人坐像)을 각각 돋을새김하고 있어 만면(滿面)에 조각이 화려하며, 2층과 3층 옥신석의 하단에는 난간을 둘렀다.

또 상단부에는 3층에 다같이 목조건축의 두공형(枓栱形)을 새겼다. 1층과 2층 옥개석 하면에는 앙련(仰蓮)을 조각하였고 3층 옥개석 밑에는 삼존상을 조각하였다.

이와 같이 각 부 구조에서 전형적인 양식에 구애되지 않은 자유로운 설계를 볼 수 있고 각 부재의 표면조각에서도 특이한 의장을 찾을 수 있는 점이 신라시대 굴지의 아름답고도 특수한 형식의 탑이라 하겠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