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7월 12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문화

문화

난파선에서 발견된 뼈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난파선에서 발견된 뼈의 주인은 누구였을까?난파선에서 발견된 뼈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2008년 충청남도 태안군 대섬 앞바다, 태안선 (고려시대 선박)의 수중발굴조사가 한창이었다. 조사가 끝나갈 무렵 바닷속에서 발굴 중이었던 당시 노경정 조사원(現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21:39

근대와 현대, 남과 북 그림 속에서 그 차이를 보다

근대와 현대, 남과 북 그림 속에서 그 차이를 보다김용준의 춤은 구성이 아주 단순하다. 여승의 춤사위와 그것이 음악의 선율에 따라 움직이는 것임을 암시하는 북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하지만 이작품에 관한 문제들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 근대와 현대 수국과 채색, 남한과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21:21

애기애기한 부처와 두 보살 셋이 모여 보물이 되다

애기애기한 부처와 두 보살 셋이 모여 보물이 되다어린 화랑을 미륵의 화신으로 여긴 신라인들의 정신세계 엿보여 01.보물 제2071호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문화재청이 보물은 의좌상(의자에 앉은 자세)을 취한 본존 미륵불과 입상의 좌우 협시보살 등 총 3구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21:15

환관이 덕을 베풀었다는 인덕원옛길

환관이 덕을 베풀었다는 인덕원엣길지금의 경기도 안양시에 있는 인덕원은 조선시대에 여행자들에게 숙박을 제공하던 원이 있던 곳이다. 숙박업소가 있었을 만큼 인덕원은 주변 지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가 잘 발달해 있었다. 특히 인덕원은 남쪽의 수원과 북쪽의 과천 및 한양으로 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09:34

밥알이 동동 동동주, 화성 부의주 浮蟻酒

밥알이 동동 동동주, 화성 부의주 浮蟻酒경기도 화성시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빚어온 찹쌀로 만든 술. 고려시대부터 빚어온 것으로 알려진 부의주는 술 위에 떠 있는 밥알의 모습이 개미가 물 위에 떠 있는 모습을 연상케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동동주로 널리 알려진 경기도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09:17

최고인기 벼슬 능참봉

최고인기 벼슬 능참봉 조선 왕릉은 세계적으로도 유래 없는 단일왕조 왕가의 무덤 모두가 온전하게 남은데다 유교철학과 풍수사상이 담긴 탁월한 조형미를 인정받아 40기 모두 세계유산이 됐다. 이렇듯 조선왕조 500년 세월동안 왕릉을 지킬 수 있었던 원동력은 과연 무엇이었을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3 21:57

정조의 효심이 어린 곳, 독산성

정조의 효심이 어린 곳, 독산성독산성과 세마대경기도 오산시 지곶동에 있는 사적 제140호로 백제시대의 산성이다. 현재 세마대지와 함께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본성의 총 연장은 1,100m이며 내성은 350m이 달하는 아담한 산성이다. 백제시대의 산성이지만 통일신라와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3 16:52

‘왕가의 길’ 탐방코스

‘왕가의 길’ 탐방코스문화유산 방문캠페인.‘왕가의 길’, 서울, 광주, 수원, 화성, 김포, 강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서울. 조선시대 이후로 현재까지 수도로 존재해 온 이곳은 우리나라의 역사가 압축된 곳으로, 근현대 역사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궁궐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8 17:30

잘 씻는 삶에 관하여

잘 씻는 삶에 관하여한동안 화장실 다녀오면 손을 씻네 마네로 논란이 일었던 때가 있다. 지금은 아무도 손을 씻는 일에 토를 달지 않는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뭐든 잘 씻는 게 감염병 예방의 첫 단계라는 점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수세기 전, 위생 환경이 좋지 못했을 때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8 16:26

나의 이름은 보물 제1844호 초 심지를 자르는 가위다

나의 이름은 보물 제1844호 초 심지를 자르는 가위다01.보물 제1844호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1975년 월지 준설공사에 따라 시작된 유물 발굴 작업에서 이색적인 풍모를 지닌 금동초심지가위 1점이 발견됐다.이는 신라의 정교한 조형미를 단적으로 보여 준 공예품으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8 12:55

천 년의 바람 대를 이어 불다

천 년의 바람 대를 이어 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28호 선자장(扇子匠) 보유자 김동식선자장(扇子匠)은 전통 부채를 만드는 기술과 그 기능을 보유한 장인을 말한다. 우리나라 부채는 형태상으로 자루가 달린 둥근 모양의 단선(團扇)과 접고 펼 수 있는 접선(摺扇, 접부채)으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8 11:10

바다만 아는 미스터리, 복원으로 풀어낸다

바다만 아는 미스터리, 복원으로 풀어낸다바다만 아는 미스터리, 복원으로 풀어낸다 바닷속에서 발견되는 도기는 개흙에 완전히 매몰된 상태가 아니면 깨진 편으로 출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당시 백성들이 사용하던 생활 용구인 도기의 발견은 선원들의 선상생활을 추정할 수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8 10:54

신(神)이 된 관우(關羽)와 < 국사당의 무신도 >

신(神)이 된 관우(關羽)와 < 국사당의 무신도 >무신(武神) 관우. 그의 자는 운장이나 그 이름 앞에 무신을 붙여도 전혀 어색함이 없다. 『삼국지연의』에서 무력 최고치를 100으로 놓는다면 그 자리엔 당연히 여포가 들어설 것이다. 하지만 정작 무신으로 불리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8 10:46

동일 한자권 내에서 역사·문화적 유사성이 높은 두 마을 한국 안동 하회마을 vs 중국 이현

동일 한자권 내에서 역사·문화적 유사성이 높은 두 마을 한국 안동 하회마을 vs 중국 이현          동일 한자권 내에서 역사·문화적 유사성이 높은 두 마을 한국 안동 하회마을 vs 중국 이현 홍춘한국과 중국은 지정학적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0 23:09

알면 알수록 마음이 아파지는 미리내성지.

알면 알수록 마음이 아파지는 미리내성지.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에 위치하고 있는 미리내 성지는 천주교 신자는 물론 신자가 아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장소이다. 미리내는 은하수를 뜻하는 순우리말인데 어째서 성지 이름이 미리내가 되었을까?이곳에서 우리는 자신의 신념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08 23:14

  • 26
  • 27
  • 28
  • 29
  • 30

최신기사

2025-07-11 14:32
문화

의성 ‘못’ 농업유산에 담긴 물관리 전통지식

2025-07-11 14:27
뉴스

마을의 숨겨진 자연유산을 찾습니다!

2025-07-11 14:20
뉴스

광복 80주년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 개막행사(8.11.) 참가자 모집

2025-07-09 21:31
문화

바람에 담긴 조선의 기상과학과 문화 풍기대

2025-07-09 21:17
사진이야기

다시 빛을 찾은 역사의 돌탑

인기기사

  • 1

    신라의 자연재해 극복을 보여주는 비석 「영천 청제비」 국보 지정

  • 2

    바람에 담긴 조선의 기상과학과 문화 풍기대

  • 3

    다시 빛을 찾은 역사의 돌탑

  • 4

    의성 ‘못’ 농업유산에 담긴 물관리 전통지식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