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9월 02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여행

여행

경상북도 의성군 첩첩 깊은 오지, 왕실과 인연이 많은 사찰

의성 지장사 地藏寺경상북도 의성군 첩첩 오지의 왕실과의 인연이 많은 사찰로서, 지장보살의 원력이 큰 사찰로 인정되어 왕실에서 어려움을 피해 찾을 수 있는 길지의 사찰로 알려진 곳이었다.지장사는 과거에는 직지사의 말사였으나,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25-08-30 17:41

경상북도 의성빙계 계곡의 빙혈(氷穴), 풍혈(風穴)

경상북도 의성 빙계 계곡의 빙혈(氷穴), 풍혈(風穴)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계곡에 빙혈과 풍혈이 있고, 빙계 8경도 있다.빙계리에는 얼음구멍을 의미하는 빙혈(氷穴)이 있기 때문에 마을 명칭이 유래된 것으로 전해진다. 삼복더위에는 시원한 바람과 차디찬 물이 솟아나고,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25-08-28 16:02

충성의 상징 장절공 신숭겸 장군

장절공 신숭겸 장군평산 신씨 시조로 초명은 능산(能山)이고, 시호는 장절공(壯節公)이다.장절공 신숭겸 장군은 충성과 정의의 상징으로 불리는 고려 태조 왕건의 개국공신 중 한 명이다.태봉국의 장수이자 왕건의 최측근 장수로서 서기 918년 가망없이 타락한 태봉국의 국왕 궁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25-08-22 14:06

안동 헛제사밥

헛제삿밥은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통 음식으로, 말 그대로 헛되이 차린 제삿밥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보통은 제사를 지낸 후 조상께 올렸던 음식으로 식사를 하지만, 실제 제수와 똑같이 각종 나물과 미역부각, 돔배기(상어), 가오리, 문어, 산적, 여기

문화 유시문 기자 2025-08-16 16:31

신라 최초의 사찰 구미 도리사

구미 도리사는 구미시 해평면 냉산(태조산, 해발 694m) 중턱에 자리한 천 년 고찰로, 태조산이란 명칭은 고려 태조 왕건이 산성을 쌓고 견훤과 전투를 벌인데서 유래하였고, 냉산은 예로부터 도리사 뒷산이 워낙 추워서 냉산이라 불려졌다.도리사 일주문을 지나 도리사로(桃李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25-08-12 11:57

사가정 공원

지하철 7호선 사가정역 4번 출구 근처에 있는 사가정공원은 2005년 4월 13일 개장한 공원이다. 공원의 명칭은 용마산 근처에서 거주했던 조선 전기의 문인인 서거정 선생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그의 호 사거정을 따서 지어졌다. 또한, 그의 대표적인 시 4편을 골라

여행 유시문 기자 2024-02-19 21:50

박정희 대통령이 3년 동안 하숙했던 문경 주흘산 자락의 청운각

박정희 대통령이 3년 동안 하숙했던 문경 주흘산 자락의 청운각 하숙집과 전시관이 모두 문이 열려있어 구경하기 편하다. 문경 대표 관광지가 된 것이다청운각은 박정희 대통령께서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그해 4월 이곳 청운각 바로 뒤편에 있는 문경 서부심상소학교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9-12 09:42

영종도 용궁사

인천 영종도 백운산 용궁사(龍宮寺 인천 유형문화재 제15호) 영종대교를 건너 15분 정도 가면 백운산 자락에 천 삼백 년 세월을 간직하고 있는 용궁사가 있다. 흥선대원군이 쓴 편액이 걸려있는 용궁사는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산 이름을 백운산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1 22:17

왜관 성베네딕도 수도원

왜관 성베네딕도 수도원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는 모태를 가지고 있는 이곳은 6.25전쟁 때 북한 덕원과 중국 연길수도원에서 피난 내려와 프랑스에서 온 선교사들이 붉은색이나 회색 벽돌을 사용하여건축한 성당으로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양식을 혼용하여 1

여행 유시문 기자 2023-03-12 12:52

예천 천향리 석송령

예천 천향리 석송령 (醴泉 泉香里 石松靈)예천 천향리 석평마을의 마을회관 앞에서 자라고 있는 석송령은 나이가 6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1m, 둘레는 3.67m이다. 나무는 밑동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어 전체적으로 우산 모양을 하고 있으며, 곁가지의 무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3-06 09:14

예천 명봉사에는 문종대왕과 사도세자(장조)의 태실이 있다.

예천 명봉사에는 문종대왕과 사도세자(장조)의 태실이 있다. 태실(胎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태봉 정상에 일정한 의식과 절차를 걸쳐 태(胎)를 봉안하는 곳을 말한다.태실에 있던 태항아리는 일제강점기 당시 관리의 어려움을 이유로 지금의 경기 고양 서삼릉으로 옮겨졌기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2-26 21:57

철원 고석정 및 순담

철원 고석정 및 순담큰 여울이라는 뜻을 가진 한탄강 아름다운 명승지 고석정꽃밭 축제로 매년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다. 고석정 및 순담은 철원 구경 중 하나로, 강원도 철원군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다. 한탄강 중앙에 있는 15m 높이의 거대한 고석과 고석정, 한탄강 줄기의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2-24 20:07

피안으로 가는 절 도피안사

피안에 이르는 도피안사도피안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 신흥사(神興寺)의 말사로서 국보 철조비로자나불상과, 보물 삼층석탑을 봉안하고 있는 천년 사찰이다.화개산 도피안사(花開山 到彼岸寺)라는 편액이 높다란 일주문에 걸려있다. 꽃이 핀다는 산 이름인데 이 한겨울에 꽃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2-18 17:54

철원 승일교 鐵原 承日橋

철원 승일교 鐵原承日橋이승만 대통령의 승(承)자와 북괴 김일성의 일(日)자를 따서 승일교(承日橋)라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한탄강 협곡에 최초로 세워진 근대식 콘크리트 다리이다철원군 북방 북한 땅에서 발원한 한탄강(漢灘江)은 철원군 한가운데를 남북 방향으로 지나 포천,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2-16 10:38

철원 직탕폭포

직탕폭포(直湯瀑布)직탕폭포(直湯瀑布)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태봉대교 상류에 있는 폭포로 높이는 약 3m, 폭은 80여m에 이른다. 일반적인 폭포와 달리 높이에 비하여 폭이 훨씬 넓다. 철원 사람들은 한국의 나이아가라 폭포라고 부르기도 한다.한탄강 본류에 위치한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2-14 09:36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5-09-02 10:17
뉴스

무형유산 책마루 (전주)에서 열리는 가을 밤 인문학 강연

2025-09-01 14:33
뉴스

한국관광공사, ‘가족동행 청소년 꿈여행’ 참가자 500명 모집

2025-09-01 11:44
뉴스

바닷속으로 떠나는 시간 여행, 「고려난파선 수중발굴 캠프」 참가자 모집

2025-09-01 11:40
뉴스

광복 80주년 맞아 고고·건축·미술 등 분야별 문화유산 행사 풍성

2025-08-30 17:41
사진이야기

경상북도 의성군 첩첩 깊은 오지, 왕실과 인연이 많은 사찰

인기기사

  • 1

    안동 헛제사밥

  • 2

    신라 최초의 사찰 구미 도리사

  • 3

    충성의 상징 장절공 신숭겸 장군

  • 4

    경상북도 의성빙계 계곡의 빙혈(氷穴), 풍혈(風穴)

  • 5

    경상북도 의성군 첩첩 깊은 오지, 왕실과 인연이 많은 사찰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