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가 사람과 하늘을 이어준다는 솟대

신과 인간사이의 연락책, 솟대

솟대는 마을공동체 신앙의 하나로 음력 정월 대보름에 동제를 올릴 때나, 질병, 화재 등 재앙을 막고 농사나 고기잡이의 풍년, 풍어 등을 기원하는 것 이 가장 큰 목적으로 마을 입구에 수호신의 상징으로 세운 긴 나무 장대이다. 마을 어귀에 솟대를 단독으로 세우는 곳도 있지만, 장승과 솟대가 같이 있는 마을도 상당히 많다. 솟대가 수호신의 상징이라는 점과 성역의 상징 또는 경계나 이정표 등의 기능이 있는 것은 장승과 마찬가지이다.


삼한 시대의 소도(蘇塗는 원삼국시대 한반도에 존재했던 일종의 성지)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긴 장대 끝에 나무로 1~3마리의 새 모습이다. 솟대 위의 새는 대개 오리라고 불리며 일부 지방에서는 까마귀, 기러기, 갈매기, 따오기, 까치 등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지방에 따라  소줏대, 솔대, 별신대 등으로 불리며, ‘진또베기’는 강원도 지방에서 솟대를 일컫는 방언이다.


미스터트롯에서  이찬원이 부른 진또배기 노래 한 구절에 오리 세마리의 즉 솟대의 역할을 나타내고 있다.

어촌마을 어귀에 서서 / 마을에 평안함을 기원하는 진또배기 진또배기 진또배기
오리 세 마리 솟대에 앉아 / 물 불 바람을 막아주는 진또배기 진또배기 진또배기

동제와 관련해서는 당산, 진또배기, 별신대, 성황대, 세워진 위치에 따라서는 거릿대, 갯대, 의인화를 기준으로 해서는 거릿대장군님, 대장군님, 당산할머니, 당산할아버지, 진또배기서낭님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오리는 철새이기 때문에 일정한 기간을 주기로 두 지역을 오가는 신비의 새로 인식되었다. 이는 곧 이승과 저승, 인간계와 저승계를 넘나드는 신조(神鳥)로 여겨져, 특히 이승과 저승 사이에 가로 놓여 있는 물(강이나 바다로 표현하는 것들)을 건너 두 세계로 오고 갈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청동기, 고조선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속신앙으로서 새가 사람과 하늘(신)을 이어준다는 뜻을 담고 있다.

최근까지 흔히 민간에서 세우던 솟대의 기원은 『삼국지』 마한전(馬韓傳)에 나오는 소도(蘇塗)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손진태(孫晉泰 민속학자, 사학자, 호는 남창南倉)는 「소도고(蘇塗考)」에서 소도는 별읍이 아니라 대목(大木)이며, 이것이 신간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는 솟대라고 하였다.

보물 농경문 청동기(農耕文 靑銅器) 나뭇가지 위에 앉아 있는 새의 모습과 사람들이 농사짓는 모습으로  밭을 가는 것을 새겨놓았다.  ©문화재청



경주 출토 조식간두(鳥飾竿頭)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식간두는 장대나 막대기끝에 새 모양의 장식을 말한다.


국가민속문화재 부안 동문안 당산


공주 삼태봉  마을 장승과 솟대


사진 네이버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