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님께 새해인사를 드리는 설 차례

제례의 절차와 풍습

조상님께 새해인사를 드리는 설 차례

제례의 절차와 풍습



차례는 달이나 계절, 해가 바뀌어 새로운 계절이 찾아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면서 계절음식과 명절음식을 올리는 의례다. 설 차례는 설날에 올리는 차례로 새해를 맞아 조상님께 인사를 올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물로 떡국이 올라가서 떡국 차례라고 부르기도 하고, 정조다례라고 부르기도 한다. 명절차례가 대부분 사라졌지만 설 차례만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설 차례는 말 그대로 설날에 올리는 차례를 의미한다. 기제사 이외에도 추석이나 설과 같은 명절에 조상님께 인사를 올렸다. 그 중 설 차례는 정조다례(正朝茶禮)라고 하여, 설날 아침 조상에 대한 세배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또한, 제물로 떡국을 올렸다 하여 떡국 차례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설 차례상

일반적으로 설날 아침밥을 먹기 전에 떡국으로 설 차례를 지낸다. 절차는 기제사와 유사하고, 기제사에서 모시는 조상의 대수와 똑같이 모신다. 사대봉사를 하는 집안에서는 4대조까지 차례에서 모시고 후손들이 참석한다. 과거에는 윗대 조상을 위해 제사상을 차려 차례를 지내고 나면 상에 올렸던 재물을 내리고 나서 다시 새롭게 상을 준비해서 다음 대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과정이 간소화되어 제물은 한 벌만 차려 놓고 지방을 떼고 새로 붙이는 방식으로 차례를 지내거나, 모시는 조상 대수에 따라 각각 제물을 준비하여 한꺼번에 차려놓고 한 번만 올리기도 한다. 한꺼번에 할 때는 서쪽부터 동쪽을 향해 순서대로 윗대 조상의 지방을 붙여놓는다. 떡과 수저는 제물을 한 벌만 차리더라도 따로 놓고 간혹 메와 갱을 올리는 경우에도 새로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 설 차례는 메와 갱 대신 떡국을 올리고, 산자, 삼색실과, 탕, 포 등을 제물로 올린다. 신주에 절을 하고(참신),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 위에 붓는다(강신). 이어 술을 올리는데 차례 때에는 따로 축문을 읽지 않는다. 그런 다음 삽시(插匙)한다. 유식의 절차는 별도로 없다. 철시한 다음에는 사신재배하고 상을 치운다. 차례를 지낸 후 조상의 묘소로 성묘를 가기도 한다. 성묘를 갈 때는 별다른 제물은 가져가지 않고 묘소에 절만 올리고 오는데 가정에 따라 간단하게 주・포・과를 가지고 가서 상석에 올려놓는 경우도 있다.


                                                                제사상



기제사는 조상숭배 실천윤리의 하나로 조상이 돌아가신 당일을 추모하여 지내는 의례라면, 묘제는 묘에 직접 찾아뵙고 4대조 이상의 조상을 추모하는 의례이다. 그리고 차례는 달과 계절, 해가 바뀌거나 새롭게 찾아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면서 동시에 명절음식과 계절음식을 올리는 의례다. 설날은 계절음식 보다는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는 첫 날이라 집안의 어른들과 돌아가신 조상에게 예를 올리는 자리였다.

경상남도 양산에서는 설날에 남의 집을 부인이 처음으로 방문하면 그 집안에 안좋은 일이 생길 수 있다겨 여겨 남의 집 출입을 삼가했고, 설날 혹은 섣달 그믐에 한 해 동안 모았던 머리카락을 태우면 그 노린내로 인해서 새로운 해에는 나쁜 기운이 붙지 않는다고 여겨 머리카락을 태우기도 했다. 쌀을 일 때 이용하는 조리를 설날 새벽에 사면 복이 일년 내내 들어온다고 하여 복조리라고 한다. 복조리는 대청이나 방문 위에 달아두기 위해 여러개를 구입한다. 복조리 안에는 성냥, 엿, 돈 등을 넣어두기도 한다.

세배는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인사이고, 조상에게 하는 인사는 차례다. 한 해를 시작하는 설날 차례를 지내는 것은 조상에 대한 세배를 하는 것이다. 세시절기에 맞춰 있던 명절 차례는 모두 소멸되었지만 설 차례는 유지 계승되고 있다.

메, 제사 때 신위(神位) 앞에 놓는 밥.
갱(羹), 제사에 쓰는 국. 무와 다시마 따위를 얇게 썰어 넣고 끓인다. 메탕.
삽시(揷匙), 제사 지낼 때 숟가락을 메에 꽂는 의식. 수저꽂기.
유식(侑食),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로 제주(祭主)가 술을 다 부은 다음 숟가락을 제삿밥 가운데 꽂고 젓가락 끝이 동쪽으로 가게 놓은 다음 재배한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