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광웅천 스님 법문

"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다 "

지광웅천 스님 법문

"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다 "
 


일본 쓰레기장에서 주인 없는 돈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해 4월 군마현의 한 쓰레기 처리회사는 혼자 살다가 죽은 노인의 집에서 나온 쓰레기 더미에서 검은 봉지에 담긴 현금 4억원을 발견했다.  버려진 유품속에 섞여 나온 돈이 지난해에만 약 1,900억원에 달할 정도라고 하니 쓰레기장만 잘 뒤져도 돈벌이가 될 것 같다. 
 
외롭고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도 죽음 직전까지 돈을 생명줄처럼 움켜쥐고 있던 노년의 강박감에 가슴이 먹먹해진다.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고 1인 가구 비중이 급증하는 우리에게 이웃 나라의 쓰레기 더미속 유산은 강 건너 불이 아니라 눈앞의 현실이다. 
 
한국은 재벌총수부터 중산층까지 돈을 쌓아놓고도 웬일인지 돈이 부족할까봐 전전긍긍한다. 
50대 이상의 중년 노년세대는 단군 이래 가장 가계자산이 두둑하다.  1960년대 이후 경제발전으로 인한 성장과실을 고스란히 누렸다. 
 
돈은 써야 내 돈이다. 
내가 벌어 놓은 돈이라고 할지라도 내가 쓰지 않으면 결국 남의 돈 일수밖에 없다. 
 
일본인 소설가 소노 아야코는
"나는 이렇게 나이 들고 싶다" 라는  책에서 돈이 다 떨어지면 최후에는 길에 쓰러져 죽을 각오로 마음 편히 돈을 쓰라고 조언한다.  노인들이 돈에 집착하는 이유는 자식이나 사회로부터 버림 받았을때 최후에 의지할 곳은 돈밖에 없다는  생각에서 나오지만 그 정도로 비참한 경우를 당하게 되면 돈이 있더라도 별 뾰족 한 수가 없다.  작가는 "차라리 돈을 실컷 쓰다가 무일푼이 되어 세상을 떠나라."고 권유한다. 
 
인생의 황혼무렵 수중에 돈이 떨어지면 피켓시위라도 하다 죽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가라고 주장한다. 
 
평생 돈 걱정해야 할 수명 100세 시대를 맞아 황당하게 들릴 법하지만 곰곰히 생각하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내가 죽으면 돈도 소용없고 자식에게 상속한다고 자식이 행복해 지지 않는다. 
재산을 쌓아놓기 보다 벌어들인 재산과 수입을 최대한 활용하는데 관심을 두는게 훨씬 삶을 풍요롭게 할수 있다. 
 
어느해 9월 코미디계의 황제라 불리던 이주일 선생의 묘가 사라졌고 묘비는 뽑힌채 버려졌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한참 밤무대를 뛸 때는 자고 일어나면 현금 자루가 머리맡에 놓여 있었다고 회고했을 정도로 큰 부를 거머쥐었던 그가 말이다.  보유부동산을 지금 가치로 치면 50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폐암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 금연광고 모델로 나와 흡연을 뚝 떨어뜨릴 만큼 선하게 살았고 세상 떠난 뒤 공익재단과 금연재단 설립까지 꿈꿨던 그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생긴 것일까.  유족들은 기껏해야 1년에 100만원 안팎인 묘지 관리비를 체납했을 정도로 유산을 탕진했다고 한다. 추모모임조차 열 공간이 사라진 이주일 선생의 처지가 안타깝고 딱하다. 
 
잘못된 재산상속은 상속인에게 독이 든 성배를 전해주는 꼴이다. 
국내 재벌치고 상속에 관한 분쟁이 없는 가문이 거의 없다.  재벌뿐 아니라 평범한 가정에서도 상속을 놓고 전쟁을 벌이다시피 한다. 유산을 놓고 싸움질하는 자식보다 재산을 물려주고 떠나는 부모의 책임이 더 크다.  싸울 수 밖에 없는 구조를 만들어 놓고 세상을 떠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순히 돈을 물려주는데 그치지 않고  후손들이 화목하게 잘 살수 있도록 가풍을 조성하고, 삶의 기틀을 마련해주라는 얘기다.  내 자식이나 형제는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인생은 살아서나 사후에나 언제나 비관론을 바닥에 깔고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 
돈을 남겨주고 떠나기 보다는 살아있을때 함께 가족여행을 가거나 자녀의 자기개발을 위한 자금을 도와주면 훨씬 낫다. 
 
장의사에게 지불할 돈만 남겨두고 다 쓰라는 말은 미래 걱정에 너무 연연해 하지말고 현재의 삶에 충실하라는 뜻이다 
yolo라는 말 그대로 인생은 단 한 번뿐이다. 
 
아일랜드에는 이런 금언이 있다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다” 
 
하늘이 준 물질적인 축복을 마음껏 누리고  마지막엔 빈손으로 세상을 떠나는게 순리다.  죽음이란 미완성의 삶을 완성시켜 주는 마침표 같은 것이다. 삶이란 풀지도 못할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인생의 과정이다 
 
죽음이란 삶의 허물을 덮어주는 면죄부 같은 것이다. 삶이란 빈 주머니를 채우려고 바둥 거리는 몸짓이다.  삶과 죽음은 결국 순간과 영원의 경계선이다. 눈을 감음으로써 영면에 접어드니까...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