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7월 25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유시문'기자의 전체기사

생활 속 전승 공예품’, 공예 박람회에서 만나다

생활 속 전승 공예품’, 공예 박람회에서 만나다- 무형문화재 전승 공예품, 공예트렌드페어 참가/12.3. ~ 6. 서울 코엑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채수희)은 오는 3일부터 6일까지 서울 코엑스(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공예 박람회 <2020 공예트렌드페어>에 현대 생활 속에서의 쓰임새를 지닌 전승 공예품을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을 통해 선보인다. * 공예트렌드페어: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한 국내 최대 규모의 공예 비즈니스 전시회로, 한국 공예 문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03 14:22

국외 소재‘해학반도도’ 국내서 복원 마치고 공개

국외 소재‘해학반도도’ 국내서 복원 마치고 공개- 보존처리 마친 국외 소재 문화재 단독 선공개 / 12.4.~ 2021.1.10. 국립고궁박물관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최응천)은 국내에 들여와 보존처리를 마친 미국 데이턴미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03 14:20

천연기념물「보은 속리 정이품송」자목(子木) 민간 분양

천연기념물「보은 속리 정이품송」자목(子木) 민간 분양- 문화재청이 공식 승인한 천연기념물 후계목 민간분양 첫 사례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충북 보은군에서 신청한 천연기념물 제103호 보은 속리 정이품송 자목(子木)의 민간분양 계획을 승인하였다. 이는 문화재청에서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03 14:14

식민지의 흔적

인천 식민지의 흔적동인천 식민지의 길 일련종의 사찰, 묘각사터묘각사 터는 화엄사에서 제물량로를 건너 제물량로 101번길을 걷다가 우현로 20번길에 있다.묘각사터는 신흥동 주택가 근처에 비석만 하나 세워져 있어 찾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돌로 된 진입계단을 찾으면 쉽게 찾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3 14:01

대한불교 일련종 보타사

대한불교 일련종 보토사(寶土寺)와 물위에 세워진 수신탑(水神塔) 이야기석가모니 세존(釋迦牟尼世)께서 설(設)하신 최고의 가르침인 법화경(法華經)을 근본으로 하는종단(宗團)이다. 이법화경을 몸으로 읽고 포교(布敎)하신 일본의 일련대성인(日蓮大聖人:1222~1282을 종조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3 12:53

사진한장으로 보는 현대사

사진한장으로 보는 현대사조문상(일본명 히라하라 모리쓰네)  태국 반환형무소 촬영 추정​경성제국대학 재학중 일본군 군속으로 징병됨. 태국 포로수용소에 배속돼 `콰이강의 다리` 건설 공사 때 일본인 상관의 명령을 연합군 포로에게 전하는 통역병 역할 수행. 포로 학대 혐의로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3 12:33

역사속의 미인도

 남성 마음 홀리는 미인도▲ 신윤복 미인도. 114×45.2cm. 간송미술관 소장 ​​ "달걀형의 가름한 얼굴, 작고 섬세한 이목구비, 가늘고 긴 목, 좁은 어깨…." ​ 혜원(惠園) 신윤복의 '미인도'(간송미술관 소장)는 조선 후기 미인도 중 최고 명작으로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3 12:21

조선왕실 숨겨진 추문들

조선왕실 숨겨진 추문들조선이란 사회는 성리학이 지배한 사회이다. 성리학은 학문 이상으로 그 시대 이데올로기였다. 그렇게 엄격한 자기 절제가 필요했던 시대 성(性)이란 과연 어떤 식으로 접근되어졌을까?그런데 조선왕조실록에 의외로 간통 사건이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3 12:18

조선말~1950년대 결혼식 사진들

조선말~1950년대 결혼식 사진들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20-12-03 12:04

일련종의 역사와 일련종(日蓮宗)의 성립(成立)

일련종의 역사 日蓮宗의 歷史(日蓮宗開敎布敎所 所長 平井智親 스님)일련종의 역사와 일련종(日蓮宗)의 성립(成立)일련성인의 제자들은 다섯개의 문류를 형성하고 절차탁마(切磋琢磨)하여 포교에 힘썼습니다. 각각의 문류(流)중에는 분파독립(分派獨立)하는 일이 있거나, 또는 문류동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1 20:54

내시들의 무덤 초안산 楚安山

내시들의 무덤 초안산 楚安山도봉산의 지맥이 남쪽으로 이어져 월계동에서 산봉우리를 형성한다. 높이는 약 115.5m이며 동쪽에는 중랑천이 흐르고 서쪽에는 우이천이 흐른다. 초안산 남쪽 일대는 예안이씨의 선산이었으며 조선시대 예안이씨 묘역과 전통한옥인 각심재(恪心齋)가 자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1 19:37

별이 빛나는 밤, 하늘을 그리고 지혜를 얻다

 별이 빛나는 밤, 하늘을 그리고 지혜를 얻다별이 빛나는 밤, 하늘을 그리고 지혜를 얻다 역사시대 이전부터 시작된 한국의 전통 천문학은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이어왔다.우리 조상들은 다양하고 많은 천문 유산을 남겼는데, 천문 역법과 무덤에 그려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1-30 20:24

문자 사용? 그 흔적을 찾아서!

문자 사용? 그 흔적을 찾아서!대외교역에 쓰인 고대 한반도의 문구(文具) 한반도에서 살아가던 고대인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시각을 어떻게 공유했을까?  완전하진 않지만 그들에게도 의사소통의 수단이 있었을 것이고, 어쩌면 ‘문자’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아니, ‘문자’의 역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30 19:51

막걸리 "간에 좋다“

막걸리 "간에 좋다“한국의 전통술. 막 걸러낸 술이라고 하여 ‘막걸리’라는 이름이 붙었고, 색깔이 탁하여 탁주(濁酒)나 탁배기, 농사를 지을 때 먹는 술이라고 하여 농주(農酒), 거르는 과정에서 찌꺼기가 남은 술이라고 하여 재주(滓酒), 신맛을 없애기 위해 재를 섞는다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1-30 18:21

안중근의사 순국 110주년 기념의 해인 2020년 장흥 해동사(長興 海東祠)

안중근의사 순국 110주년 기념의 해인 2020년 장흥 해동사(長興 海東祠)해동사는 안중근의사의 위패를 모신 전국 유일의 사당이다.장흥 '해동사' 방문의 해로 지정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1호해동사(海東祠)는 안중근의사(1879.9.2~1910.3.26)를 배향하는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30 17:49

  • 81
  • 82
  • 83
  • 84
  • 85

최신기사

2025-07-23 14:47
뉴스

나전산수무늬삼층장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5-07-23 14:35
문화

김천 부항 지서 망루

2025-07-18 15:41
뉴스

봉은사 생전예수재 국가무형유산 신규종목 지정 및 보유단체 인정

2025-07-18 15:34
뉴스

서천읍성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 예고

2025-07-11 14:32
문화

의성 ‘못’ 농업유산에 담긴 물관리 전통지식

인기기사

  • 1

    「영천 청제비」 국보 지정 기념행사 개최 (6.30.)

  • 2

    바람에 담긴 조선의 기상과학과 문화 풍기대

  • 3

    다시 빛을 찾은 역사의 돌탑

  • 4

    광복 80주년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 개막행사(8.11.) 참가자 모집

  • 5

    단청의 장엄하고 화려한 색채 구현한 ‘석운 홍점석’ 선생 기증전 개최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