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11월 11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한・중・일, 2021년 동아시아문화도시 선정 발표

한・중・일, 2021년 동아시아문화도시 선정 발표- 한국 순천시, 중국 사오싱시·둔황시, 일본 기타큐슈시 -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중국 문화여유부, 일본 문부과학성은 2021년 동아시아문화도시로 ▲ 한국의 순천시, ▲ 중국의 사오싱시·둔황시, ▲ 일본의 기타큐슈시를 선정*하고 공동으로 발표했다. * 한국, 일본은 2020년 동아시아문화도시를 2021년으로 순연 한·중·일은 공동발표문에 이번 ‘동아시아문화도시’ 선정을 계기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워진 3국 간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21 09:15

귀의

귀의그대 서둘러 신앙의 촌심(寸心)을 고쳐 실승의 일선(一善) 으로 귀의하시라- 입정안국론그대는 빨리 지금 마음속의 작은 뜻을 고쳐 법화경을 믿도록 하라.촌심(寸心)이란 마음속의 작은 뜻 혹은 찰나의 순간적인 마음을 말합니다.'일념삼천'이란 말은 한 마음에 삼천가지의 생각을 할 수 있다는 말씀입니다.즐거워서 웃는 웃음힘들어서 웃는 웃음두려워서 웃는 웃음기쁘서 나오는 눈물슬퍼서 나오는 눈물무서워 나오는 눈물우리들 마음속에는 부처도 살고 있고 악귀도 살고 있습니다.슬퍼하지만 하루 종일 울지 않고기뻐하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20 18:35

6.25전쟁당시, 군번 없는 용사들

영화 '군번 없는 용사(1966), 전쟁으로 인한 가족해체1966년 개봉된 「군번 없는 용사」는 「7인의 여포로」에 대한 보상으로 제작된 이만희의 반공영화이다. 게릴라 부대 대장인 형(신영균)과 북한군 장교인 동생(신성일) 사이에서 아버지(최남현)가 작은아들에게 반동으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20 11:59

6·25전쟁의 최초 격전지(오산, 죽미령)와 유엔군 초전기념비

6·25전쟁의 최초 격전지(죽미령)와 유엔군 초전기념비유엔군 초전기념비는 유엔군이 6・25전쟁 당시 북한군을 상대로 벌인 최초의 전투에서 전사한 군인들의 넋을 위로하는 기념비이다. 6・25전쟁 발발 10일 만에 유엔군 선봉대인 미 제24사단 540명이 격전을 벌인 곳에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20 10:33

귀신아 물럿거라! 동짓날에 먹는 팥죽

귀신아 물럿거라! 동짓날에 먹는 팥죽특별한 날에 먹는 전통음식 팥죽은 팥을 삶아 으깨어 거른 물에 쌀을 넣고 쑨 죽이다. 주로 겨울철 동지(冬至)에 귀신을 쫒는다는 의미로 먹는 전통음식이다.중국 명나라 때 편찬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라는 사람의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19 16:00

만추(晩秋)에 길을 나서다

만추(晩秋)에 길을 나서다 산사의 길토속신앙 일색이던 삼국시대 당시, 불교는 지배 세력에게 매우 구미에 당기는 신흥종교였다. 그들은 왕권 강화라는 명분을 숨기고 불교를 통합하여 수용하였다. 그러나 핵심은 변하지 않았다. ‘나’를 향한 진리 탐구와 해탈에 이르는 길이 그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19 15:01

우리 국토 감싼 네 개의 섬 이제 모두 명승 제117호

우리 국토 감싼 네 개의 섬 이제 모두 문화재!신안 가거도 섬등반도, 명승 제117호로 지정 우리 국토의 동서남북에는 끝섬이라 불리는 곳이 있다. 바로 독도, 백령도, 마라도 그리고 가거도다. 독특한 지형과 경관을 자랑하는 이 네 개의 섬이 이제 모두 문화재가 되었다.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19 14:54

솔잎향 그윽해 신선들이 탐낸다는 술, 문경 호산춘

솔잎향 그윽해 신선들이 탐낸다는 술, 호산춘경상북도 문경의 장수 황씨 사정공파 종갓집에서는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술이 있다. 바로 호산춘(湖山春)이다. 호산춘은 신선들이 탐낼만한 술이라 하여 호선주(好仙酒)라고도 불렸다. 호산춘(湖山春)은 옅은 노란색을 띠며, 첨가된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19 14:43

청도 맑은 추어탕

미꾸라지와 민물생선의 컬래버레이션, 청도 추어탕청도 추어탕은 미꾸라지와 민물고기를 함께 넣어 맑게 끓여낸 경상북도 청도군의 향토 음식이다. 청도에는 미꾸라지보다 민물고기가 풍부한데, 이 때문에 청도 추어탕은 미꾸라지와 민물고기를 섞어 맑게 끓여내는 것이 특징이다. 미꾸

여행 유시문 기자 2020-12-19 14:30

" 3불(3不)을 알자 "

" 3불(3不)을 알자 "불견(不見) 불문(不問) 불언(不言) 불견 (不見)남의 잘못을 보려 힘쓰지 말고남이 행하고 행하지 않음을 보려하지 말라항상 스스로를 되돌아보고옳고 그름을 살펴야하리불문 (不問)산위의 큰 바위가바람에 흔들리지 않듯이지혜로운 사람은비방과 칭찬의 소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9 13:24

강경포구와 강경장의 명성을 되살린 강경젓갈시장

강경포구와 강경장의 명성을 되살린 강경젓갈시장한국의 지역별 대표 상설시장과 오일장 해산물과 농산물이 만나는 강경포구우리나라 서해안 해산물이 강경포구까지 배로 올라오고, 호남평야에서 생산한 농산물이 강경포구에 모였다가 충청도와 경기도로 간다. 그곳에 강경장이 있었다. 강

여행 유시문 기자 2020-12-19 12:24

시장의 모습을 보여주는 다양한 속담

시장의 모습을 보여주는 다양한 속담 문헌과 문학작품에 표현된 시장시장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속담들이 전해진다. 시장과 관련한 속담 속에서는 시장 생활을 통해 습득한 다양한 지혜들이 담겨져 있다. 또한 시장과 관련한 속담을 통해서 시장에서 상인과의 관계, 상행위 등에 대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속담(俗談)은 예로부터 민간에서 전해지는 쉬운 격언이라고 할 수 있다. 속담에는 전(前)세대의 지혜가 담겨져 있다. 그리고 그 지혜는 속담 겉으로 드러난 지혜도 있을 수 있고, 속담이 지니는 의미를 통해 안으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9 11:36

시장에서 불도 수행한 진묵대사

시장에서 불도 수행한 진묵대사우리나라에서 전승하는 설화 가운데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설화들이 있다. 설화 속에서 시장은 ‘수행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전승하는 ‘진묵대사’관련 설화다. 진묵대사는 조선시대 초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9 10:56

형태에 따른 다양한 장사 용어문헌과 문학작품에 표현된 시장의 속신어

형태에 따른 다양한 장사 용어문헌과 문학작품에 표현된 시장의 속신어시장에서 물건을 파는 것을 ‘장사’라고 한다. 장사의 형태에 따라서 혼자 하는 경우도 있고, 둘 이상이 같이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한 곳에 정착해서 독점적으로 장사하기도 하고, 교통수단과 교통로가 완전하지 않아 여기저기 이동해 다니면서 장사를 하기도 한다. 어울려서 하는 장사를 얼럭장사, 혼자 하는 장사를 외목장사, 이동해 다니며 하는 장사를 도붓장사, 부정기적으로 하는 장사를 뜨내기장사라고 한다.장사꾼들은 장사를 통해 최대한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9 10:48

"원품의 무명"을 자르고, 법화경의 대공덕을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법화경 제5의 권에"악귀가 그 몸에 들어가느니라"고 설해져 있는 것은 이것이니라. 예를 들어 등각의 보살일지라도 원품의 무명이라고 하는 대악귀가 몸에 들어가서 법화경이라고 하는 묘각의 공덕을 방해하는 것이니라. 어찌 하물며 그 이하의 사람에 있어서랴.   - 형제초(p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9 09:50

  • 101
  • 102
  • 103
  • 104
  • 105

최신기사

2025-11-10 17:28
문화

칠곡 다부동 전적기념관

2025-11-10 13:35
뉴스

조선 왕실의 품격 높은 그림과 글씨를 한눈에 본다

2025-11-05 16:45
뉴스

전국이 가장 예쁠 때 떠나는 올가을 숨은 관광지

2025-11-05 13:41
사진이야기

국립 공원 팔공산 하늘 정원

2025-11-03 21:36
뉴스

「안동 광흥사 응진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지정

인기기사

  • 1

    죽음과 구원의 안내자

  • 2

    ‘2025 APEC 정상회의’ 맞아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실험 현장 공개

  • 3

    K 푸드의 뿌리, 장 담그기 문화

  • 4

    가을 억새 무르익은 동구릉 ‘건원릉 능침’(태조 이성계) 특별개방

  • 5

    고종의 길 ‘구(舊) 조선저축은행 중역사택’, 대국민 특별 공개(10.28.~12.7.)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