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이치를 돌에 새겨 담은 밤하늘의 그림국보 제228호 천상열차분야지도 1960년대 창경궁 추녀 밑에서 소풍 나온 시민에게 발견된 오래된 돌덩이. 그 돌에 새겨진 별의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1464개의 별, 293개의 별자리그 안에 펼쳐진 웅장한 우주 12개의 분
전통 소주의 대명사! 안동소주안동소주는 안동지역의 명문가에서 제수용이나 손님 접대용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던 가양주의 일종이었다, 1920년 안동시에 세워진 양조 공장에서 ‘제비원 소주’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나, 순곡주의 생산을 금지하는 1962년 정부의 주세
국보 제10호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실상사(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는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한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다. 이 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이 나타나는데, 실상사에
인자한 그 미소 국보로 남다인자한 그 미소 국보로 남다 국보 제333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인자한 눈빛, 엷은 미소. 마치 살아있는 듯 생생한 표정.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고승의 풍모를 새긴 초상조각. 그 주인공은 고려 태조 왕건의 후삼국
역사의 굴곡진 흔적을 따라 걷다 호국의 섬, 강화도바람 참 모질고 거칠다. 그 탓에 나뭇가지에 붙어 있던 마지막 잎마저 나무와 이별을 고하고 바닥에 나뒹군다. 삭풍에 떨어진 낙엽이 차곡차곡 쌓이듯 역사의 흔적이 켜켜이 쌓여 하나의 풍경이 된 섬이 있다. 바로 호국의 섬
왕릉급 무덤에서 나온 신비한 환상종(幻想種)이야기 - 너의 이름은아직 만난 적 없는 한반도의 환상종 01.보물 제636호 도기 서수형 명기10여 년 전 방영한 한 드라마에 신기하게 생긴 토기가 소품으로 등장했다. 마치 거북과도 같은 등 모양에 용을 닮은 머리와 꼬리가
금강산 ‘십이폭포’ 를 바라보는 두 전망대 불정대(佛頂臺)와 은선대(隱仙臺)금강산 ‘십이폭포’ 를 바라보는 두 전망대 불정대(佛頂臺)와 은선대(隱仙臺) 금강산 외금강 지역에는 ‘십이폭포’라는 명소가 있다. 폭포수가 수직으로 떨어지지 않고 12번이나 방향을 꺾으면서 흘러
옹기운반선 봉황호 복원, 전통 항해의 돛을 펴다강진군 칠량면 봉황마을은 예부터 옹기 생산지로 유명했다. 1970년대 중반까지 옹기를 굽고 팔러 다니는 것이 마을 주민의 주된 소득일 만큼 옹기 생산이 활발했다. 그 때문에 많게는 3~4척의 옹기운반선이 한꺼번에 옹기 행상
6·25전쟁의 최초 격전지(죽미령)와 유엔군 초전기념비유엔군 초전기념비는 유엔군이 6・25전쟁 당시 북한군을 상대로 벌인 최초의 전투에서 전사한 군인들의 넋을 위로하는 기념비이다. 6・25전쟁 발발 10일 만에 유엔군 선봉대인 미 제24사단 540명이 격전을 벌인 곳에
귀신아 물럿거라! 동짓날에 먹는 팥죽특별한 날에 먹는 전통음식 팥죽은 팥을 삶아 으깨어 거른 물에 쌀을 넣고 쑨 죽이다. 주로 겨울철 동지(冬至)에 귀신을 쫒는다는 의미로 먹는 전통음식이다.중국 명나라 때 편찬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라는 사람의
만추(晩秋)에 길을 나서다 산사의 길토속신앙 일색이던 삼국시대 당시, 불교는 지배 세력에게 매우 구미에 당기는 신흥종교였다. 그들은 왕권 강화라는 명분을 숨기고 불교를 통합하여 수용하였다. 그러나 핵심은 변하지 않았다. ‘나’를 향한 진리 탐구와 해탈에 이르는 길이 그
우리 국토 감싼 네 개의 섬 이제 모두 문화재!신안 가거도 섬등반도, 명승 제117호로 지정 우리 국토의 동서남북에는 끝섬이라 불리는 곳이 있다. 바로 독도, 백령도, 마라도 그리고 가거도다. 독특한 지형과 경관을 자랑하는 이 네 개의 섬이 이제 모두 문화재가 되었다.
솔잎향 그윽해 신선들이 탐낸다는 술, 호산춘경상북도 문경의 장수 황씨 사정공파 종갓집에서는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술이 있다. 바로 호산춘(湖山春)이다. 호산춘은 신선들이 탐낼만한 술이라 하여 호선주(好仙酒)라고도 불렸다. 호산춘(湖山春)은 옅은 노란색을 띠며, 첨가된
보은 삼년산성(오정산성)보은의 삼년산성은 보은읍 동쪽 오정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산성이며 우리나라 산성을 대표할 만한 대단한 석축산성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삼년산성은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고 소지왕 8년(486)에 이찬실죽을 장군으로 삼아 일선(지금의
우리 문화의 겉과 속, 상징을 통해 미를 탐하다우리 생활문화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도상은 단순히 하나의 상징세계를 갖는 데 그치지 않았다. 저마다 여러 가지 상징체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체계 안에서 우리 선조들의 삶과 맞물려 일상화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