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11월 12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초심을 잃지 않고 사는 지혜

광우 스님 법문초심을 잃지 않고 사는 지혜 우리가 아껴야 할 마음은 초심입니다.훌륭한 인물이 되고, 중요한 과업을 성취하기 위해서는세 가지 마음이 필요하다고 합니다.첫째는 초심,둘째는 열심,셋째는 뒷심입니다.그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마음이 초심입니다.그 이유는 초심 속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6 11:23

행복은 찾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나누는 것에 있다

원조도안 스님 법문법향 가득한 마음, 행복은 찾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나누는 것에 있다.배움을 위하거든 하루하루 지식을 더해 갈 것이지만 道를 위하거든 하루하루 덜어내야 한다.덜고 덜어서 무위에 이른다. 무위에 이르면서도 하지 않음이 없다. 일반적인 공부, 철학적인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6 11:14

해외 젊은 세대, 춤 따라 하며 한국 아름다운 지방도시를 관광한다

해외 젊은 세대, <범내려온다> 춤 따라 하며한국 아름다운 지방도시를 관광한다- 12. 5. ‘아이쿵 챌린지’ 본선 행사 비대면 개최, 온라인 생중계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와 함께 12월 5일(토), 해외 젊은이들이 한국관광 해외 홍보영상 속 <범내려온다>의 춤을 따라 하며 참여잇기를 한 ‘아이쿵 챌린지(#IYKoongChallenge)’ 본선 행사를 개최한다. 비대면 행사장인 ‘아이쿵스튜디오’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전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05 18:33

문화재청 소관 수도권 지역 실내 국공립시설 5일부터 2주간 휴관

문화재청 소관 수도권 지역 실내 국공립시설 5일부터 2주간 휴관- 국립고궁박물관 ㆍ 덕수궁 석조전과 중명전 등 휴관, 궁궐 ㆍ 조선왕릉은 정상 운영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서울시 ‘코로나19’의 감염 확산으로 서울시의 방역조치 강화 협조요청에 따라, 국립고궁박물관을 포함한 문화재청 소관의 서울시 등 수도권 지역의 실내 국공립시설을 5일부터 18일까지 2주간 휴관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로 휴관하는 곳은 국립고궁박물관을 비롯하여, 궁궐과 조선왕릉 내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과 중명전 등 전체 실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05 18:30

친일승려 이회광의 야욕과 몰락

친일승려 이회광의 야욕과 몰락 덕수궁 선원전, 해인사 포교당 되다 그리 잘 알려진 일은 아니지만 오래 전에 하마터면 팔만대장경 경판이 몽땅 일본으로 옮겨질 뻔한 적이 있었다. 일본에서 대장경을 간행하겠다고 해인사 주지승과 일본인 사토 로쿠세키(佐藤六石)가 공모해서 추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5 18:24

칠궁 七宮

칠궁 七宮 칠궁(七宮)은 왕을 낳은 생모이지만 왕비가 되지 못한 후궁 7인의 신위(神位)를 모신 사당으로 서울시 종로구 궁정동에 위치해 있다 지금은 청와대 내부에 위치하여 일반인들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하다 숙빈최씨는 무수리 출신으로 숙종의 후궁이 되어 아들이 임금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5 13:16

너나 잘 해라

너나 잘 해라 효봉선사(曉峰禪師)는 일본 와세다대학 법과를 졸업하고 평양 복심법원에서 십년간 판사직을 지내시다가 어느날 갑자기 엿판을 메고 팔도강산을 방랑하기 3년, 1925년 금강산 신계사 석두스님 문하에서 출가하여 불굴의 의지로서 절구통 수좌라는 별명을 들을 정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5 11:04

지광응천스님 법문

지광응천스님선근인연(善根因緣)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의 겁(劫)이란? 우주가 태동해서 멸망하기까지의 도저히 헤아릴수 없을만큼 장구한 시간을 의미하며  일겁(一劫)의 시간은 물방울이 떨어져 집 한채만한 바위를 없애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하여  힌두교에서는 43억 2천만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5 10:41

식초를 많이 먹어야 하는 이유

식초를 많이 먹어야 하는 이유 1. 변비체내의 신진대사를 높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장내의 활동이 원활해지고 탄산가스가 발생해 변의를 일으켜 변비가 해소된다. 우유 한컵에 술잔 하나의 사과식초를 섞어 마시거나 우유대신 물에 희석해서 꿀을 섞어 마시면 좋다. 2. 비만날씬한 몸매를 갖고 싶은것은 남녀 모두의 희망사항으로 특히 주부들의 경우 당질이 지방으로 변하는것을 막고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기 때문에 비만방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 3. 당뇨먹을거리가 풍성해지면서 미식가나 대식가에게 많이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2-05 10:37

만병을 부르는 냉기 없애기

만병을 부르는 냉기 없애기암을 비롯해 소위 성인병은 40세를 경계로 급격하게 늘어나는데, 암이 50세를 넘길 무렵부터 생기는 이유는 체열 저하 이다.즉,신진대사의 저하이다.  그에 따라 야기되는 면역력 저하가 암을 부르는 것이다.몸을 따뜻하게 하는 식품과 차게 하는 식품!1. 차게 하는 식품. 가)커피는 아무리 뜨겁게 마셔도 몸을 차게 한다. 나)식초, 우유, 맥주, 위스키, 콜라, 주스 등 물기가 많은 것은 몸을 차게 한다. 다)밀가루 음식은 몸을 차게 한다. 라)바나나, 파인애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2-05 10:33

코로나로 인한 담배 지출 증가, 방광 건강이 위험하다

코로나로 인한 담배 지출 증가, 방광 건강이 위험하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회 전반에 크고 작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생활 습관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집콕(집에 머무는 것)’하는 사람이 늘어나며 외식보다는 배달 음식을, 회식보다는 혼술(혼자 술을 마심)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다. 소비 습관도 변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얼어붙은 소비 시장과 반대로 주류∙담배 소비가 역대 최고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2-05 10:23

치매와 물

치매와 물 ️ 치매는 물을 잘 마시지 않아 생기는 병 중 하나입니다. 인간에게 생기는 치매는 나이 먹고 늙어서 생기는 병이 아닙니다. 우리 몸은 면역체계가 가동 됩니다. ️ 우리 몸에 물이 부족하면 물이 없어도 살수 있는 부분부터 물 공급을 줄여 나갑니다.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2-05 10:08

“갯고랑 넘어야 먹을 수 있는 바지락칼국수, 그 깊은 시원함”

우리 음식의 맛과 이야기, 화성 바지락 칼국수“갯고랑 넘어야 먹을 수 있는 바지락칼국수, 그 깊은 시원함”제부도에서는 예전에는 바다에 들어가기만 하면 갯벌에 숨은 바지락을 한 양동이씩 캐왔다.전국적으로 바지락이 생산되고 있지만, 서해안의 바지락이 제일 맛있다. 바지락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4 21:32

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정림사지 오층석탑은 유네스코세계유산이다.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4 20:00

우리 문화의 겉과 속, 상징을 통해 미를 탐하다

우리 문화의 겉과 속, 상징을 통해 미를 탐하다우리 생활문화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도상은 단순히 하나의 상징세계를 갖는 데 그치지 않았다. 저마다 여러 가지 상징체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체계 안에서 우리 선조들의 삶과 맞물려 일상화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어떤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4 10:56

  • 106
  • 107
  • 108
  • 109
  • 110

최신기사

2025-11-11 22:47
문화

한국인을 짓다, 굴뚝

2025-11-10 17:28
문화

칠곡 다부동 전적기념관

2025-11-10 13:35
뉴스

조선 왕실의 품격 높은 그림과 글씨를 한눈에 본다

2025-11-05 16:45
뉴스

전국이 가장 예쁠 때 떠나는 올가을 숨은 관광지

2025-11-05 13:41
사진이야기

국립 공원 팔공산 하늘 정원

인기기사

  • 1

    죽음과 구원의 안내자

  • 2

    ‘2025 APEC 정상회의’ 맞아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실험 현장 공개

  • 3

    K 푸드의 뿌리, 장 담그기 문화

  • 4

    가을 억새 무르익은 동구릉 ‘건원릉 능침’(태조 이성계) 특별개방

  • 5

    고종의 길 ‘구(舊) 조선저축은행 중역사택’, 대국민 특별 공개(10.28.~12.7.)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