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7월 24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유시문'기자의 전체기사

너나 잘 해라

너나 잘 해라 효봉선사(曉峰禪師)는 일본 와세다대학 법과를 졸업하고 평양 복심법원에서 십년간 판사직을 지내시다가 어느날 갑자기 엿판을 메고 팔도강산을 방랑하기 3년, 1925년 금강산 신계사 석두스님 문하에서 출가하여 불굴의 의지로서 절구통 수좌라는 별명을 들을 정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5 11:04

지광응천스님 법문

지광응천스님선근인연(善根因緣)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의 겁(劫)이란? 우주가 태동해서 멸망하기까지의 도저히 헤아릴수 없을만큼 장구한 시간을 의미하며  일겁(一劫)의 시간은 물방울이 떨어져 집 한채만한 바위를 없애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하여  힌두교에서는 43억 2천만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5 10:41

식초를 많이 먹어야 하는 이유

식초를 많이 먹어야 하는 이유 1. 변비체내의 신진대사를 높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장내의 활동이 원활해지고 탄산가스가 발생해 변의를 일으켜 변비가 해소된다. 우유 한컵에 술잔 하나의 사과식초를 섞어 마시거나 우유대신 물에 희석해서 꿀을 섞어 마시면 좋다. 2. 비만날씬한 몸매를 갖고 싶은것은 남녀 모두의 희망사항으로 특히 주부들의 경우 당질이 지방으로 변하는것을 막고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기 때문에 비만방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 3. 당뇨먹을거리가 풍성해지면서 미식가나 대식가에게 많이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2-05 10:37

만병을 부르는 냉기 없애기

만병을 부르는 냉기 없애기암을 비롯해 소위 성인병은 40세를 경계로 급격하게 늘어나는데, 암이 50세를 넘길 무렵부터 생기는 이유는 체열 저하 이다.즉,신진대사의 저하이다.  그에 따라 야기되는 면역력 저하가 암을 부르는 것이다.몸을 따뜻하게 하는 식품과 차게 하는 식품!1. 차게 하는 식품. 가)커피는 아무리 뜨겁게 마셔도 몸을 차게 한다. 나)식초, 우유, 맥주, 위스키, 콜라, 주스 등 물기가 많은 것은 몸을 차게 한다. 다)밀가루 음식은 몸을 차게 한다. 라)바나나, 파인애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2-05 10:33

코로나로 인한 담배 지출 증가, 방광 건강이 위험하다

코로나로 인한 담배 지출 증가, 방광 건강이 위험하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회 전반에 크고 작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생활 습관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집콕(집에 머무는 것)’하는 사람이 늘어나며 외식보다는 배달 음식을, 회식보다는 혼술(혼자 술을 마심)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다. 소비 습관도 변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얼어붙은 소비 시장과 반대로 주류∙담배 소비가 역대 최고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2-05 10:23

치매와 물

치매와 물 ️ 치매는 물을 잘 마시지 않아 생기는 병 중 하나입니다. 인간에게 생기는 치매는 나이 먹고 늙어서 생기는 병이 아닙니다. 우리 몸은 면역체계가 가동 됩니다. ️ 우리 몸에 물이 부족하면 물이 없어도 살수 있는 부분부터 물 공급을 줄여 나갑니다.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2-05 10:08

“갯고랑 넘어야 먹을 수 있는 바지락칼국수, 그 깊은 시원함”

우리 음식의 맛과 이야기, 화성 바지락 칼국수“갯고랑 넘어야 먹을 수 있는 바지락칼국수, 그 깊은 시원함”제부도에서는 예전에는 바다에 들어가기만 하면 갯벌에 숨은 바지락을 한 양동이씩 캐왔다.전국적으로 바지락이 생산되고 있지만, 서해안의 바지락이 제일 맛있다. 바지락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4 21:32

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정림사지 오층석탑은 유네스코세계유산이다.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4 20:00

우리 문화의 겉과 속, 상징을 통해 미를 탐하다

우리 문화의 겉과 속, 상징을 통해 미를 탐하다우리 생활문화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도상은 단순히 하나의 상징세계를 갖는 데 그치지 않았다. 저마다 여러 가지 상징체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체계 안에서 우리 선조들의 삶과 맞물려 일상화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어떤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4 10:56

국립고궁박물관 현관에 대형 조선왕실 유리등 걸었다

국립고궁박물관 현관에 대형 조선왕실 유리등 걸었다- 왕실이 밤잔치 연회에 쓰던 사각 유리등 본딴 현관조명 개발-- 추후 궁궐과 왕릉, 야간 문화재 관람행사 등에 다양하게 활용 예정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조선 시대 왕실이 밤잔치에 쓰던 사각유리등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04 10:52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등 3건 국가등록문화재 등록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등 3건 국가등록문화재 등록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 「구 천도교 임실교당」등 3건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하였다. 『훈맹정음』은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04 10:42

남로당원들과 북한의 만행

남로당원들과 북한의 만행  1946년 1월 15일 발족된 국방경비대 는 친일파와 남로당원들이 뒤섞였다.▲ 반란군 측에 가담하여 체포된 국군들1948년 제주 4. 3 사건과 여.순사건이 발생하고, 남로당원 숙군과정에서 4,749명 숙청, 5,568명이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4 09:50

역사 속 전라도 청해진 설치한 해상왕 장보고

역사 속 전라도 청해진 설치한 해상왕 장보고  장보고(張保皐)는 787년경 남북국시대에 완도에서 태어난 신라의 해상호족이다. 남북국시대는 남쪽의 신라와 북쪽의 발해가 병존하던 7세기 후반부터 10세기 전반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김부식이 저술한 삼국사기에는 장보고의 본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4 09:41

선조의 장손, 임해군의 아들이 일본 일련종의 큰스님이 된 이야기

선조의 장손, 임해군의 아들이 일본 일련종의 큰스님이 된 이야기후꾸오까 묘안사 본당에 모셔진 일연스님 목상이다. 임해군의 누나가 직접 조성했다고 전해진다.몇 년 전(2002년 10월 25일) 김제 금산사에서는 수많은 인파가 운집한 가운데 1403년 개산대제가 열렸다.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3 16:59

코로나19 극복 기원, 유쾌! 상쾌! 통쾌! 콘서트

코로나19 극복 기원, 유쾌! 상쾌! 통쾌! 콘서트- 국립무형유산원 송년 공연「쇼쇼쇼」 개최 / 12.12. 토요일 오후 4시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채수희)은 오는 12일 오후 4시부터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2020 국립무형유산원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2-03 15:03

  • 76
  • 77
  • 78
  • 79
  • 80

최신기사

2025-07-23 14:47
뉴스

나전산수무늬삼층장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5-07-23 14:35
문화

김천 부항 지서 망루

2025-07-18 15:41
뉴스

봉은사 생전예수재 국가무형유산 신규종목 지정 및 보유단체 인정

2025-07-18 15:34
뉴스

서천읍성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 예고

2025-07-11 14:32
문화

의성 ‘못’ 농업유산에 담긴 물관리 전통지식

인기기사

  • 1

    「영천 청제비」 국보 지정 기념행사 개최 (6.30.)

  • 2

    바람에 담긴 조선의 기상과학과 문화 풍기대

  • 3

    다시 빛을 찾은 역사의 돌탑

  • 4

    광복 80주년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 개막행사(8.11.) 참가자 모집

  • 5

    의성 ‘못’ 농업유산에 담긴 물관리 전통지식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