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비하 논문, 일본의 추한 모습 다시 고개 드는 것

미국 하버드대 석·박사 출신 한국학 전문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라고 폄하한 마크 램지어(J. Mark Ramseyer) 하버드 법대 ‘미쓰비시 일본 법학’ 교수 논문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반박하는 칼럼을 정부 대표 다국어포털 ‘코리아넷*(www.korea.net)’에 기고했다.

위안부 비하 논문, 일본의 추한 모습 다시 고개 드는 것

- 하버드대 박사 출신 피터슨 교수, 반박 칼럼 ‘코리아넷’에 기고 -

미국 하버드대 석·박사 출신 한국학 전문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라고 폄하한 마크 램지어(J. Mark Ramseyer) 하버드 법대 ‘미쓰비시 일본 법학’ 교수 논문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반박하는 칼럼을 정부 대표 다국어포털 ‘코리아넷*(www.korea.net)’에 기고했다.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해외문화홍보원(원장 박정렬)이 운영하는 정부 대표 해외홍보 매체. 9개 언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아랍어, 불어, 독어, 러시아어, 베트남어)로 한국 관련 뉴스 등을 제공해 전 세계에 한국을 알리고 있다.

마크 피터슨(Mark Peterson) 브리검영 대학(Brigham Young University) 명예교수는 2월 17일(수) 코리아넷에 게재한 ‘위안부, 다시 한국을 자극하는 일본’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2차 세계 대전 당시 행위를 두둔하는 일본의 추한 모습이 2021년에도 다시 한번 고개를 들고 있다.”라고 글을 시작했다.

피터슨 교수는 “램지어 교수 논문의 문제점은 피해자들이 어떻게 강제로 또는 속아서 위안부가 됐는지에 대해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고 변호사들만 읽을 수 있는 법적인 주제로만 국한시켰다는 점”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로 끌려간 피해자들의 사연은 한국 어디서나 찾아볼 수 있다.”라며 일제 강점기 때 위안부 강제동원을 피하려고 하얼빈의 삼촌집으로 보내진 가사도우미 아주머니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어 “이 논문은 국가가 허가한 유곽에서 이뤄진 매춘에 관한 법적인 문제에 대해서만 논하고 있다. 법적인 문제 외에는 위안부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하려 하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자는 일본이 전시에 저지른 여성 착취 범죄 상황 전반에 대해서는 논하고자 하지 않는다. 잠시 쉬었다는 이유로, 병을 옮기거나 임신을 했다는 이유로 위안부들을 난폭하게 때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위안소의 잔인한 면은 ‘위험하다’ 정도로 적힌 것이 전부”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제가 저지른 난징대학살을 언급하면서 “일본군은 전투를 치른 뒤 여자들을 강간하고 사람들을 죽이며 난동을 부렸다. 일본 정부가 자국 병사들의 성욕 해소를 위한 수단으로 위안소 운영을 강화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피터슨 교수는 “법학자는 전쟁 시의 법적인 문제에 대해 다룰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삶과 이미 작고한 위안부 여성들에 대한 명예를 훼손하고 서로 골이 깊어진 두 이웃 국가 간의 불신과 증오에 불을 지피는 것이라면, 이 논문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라며, “문제를 단편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굉장한 폐해를 낳고 있다. 그의 논문은 일본에 대한 한국의 오랜 반감, 불신, 증오에 불을 질렀다.”라고 했다.

램지어 교수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램지어 교수는 공식 직함이 ‘미쓰비시 일본 법학교수’이고, 일본에서 유소년 시절을 보냈으며 2년 전에는 일본 정부 훈장인 ‘욱일장’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일본 사람이 아니지만 어느 누구보다 열심히 일본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해 왔다. 이번에는 하버드 법대에서 나온 논문으로 일본의 입장을 두둔하며 다시 한국의 상처에 소금을 뿌렸다.”라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의 행태와 관련해서는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입장을 고집해왔으며 매번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딱지를 떼어내 버린다. 일본은 전범국가로서 보여야 할 사죄와 동정과는 멀찍이 거리를 두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피터슨 교수는 “과연 언제쯤 일본과 일본을 대표하는 모든 이들이 20세기 초 자국이 저지른 전범행위에 대한 정당화를 중단하고 ‘미안하다’고 말할까”라며 글을 끝맺었다.

피터슨 교수는 1987년 하버드 대학에서 동양학 박사 학위를 받고 브리검영 대학에서 30년 이상 한국학을 가르쳤다. 2018년 은퇴 후 ‘우물 밖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아래는 마크 피터슨 교수 칼럼 영어 원문 국문 번역본이다.

Comfort women: Japan again provokes anger in Korea

By Mark Peterson

Professor emeritus at Brigham Young University
The flaw in the logic of the Ramseyer article and the way it is interpreted is:
"There were blue cars I saw on the highway."
"Therefore, all cars are blue."
"There were prostitutes recruited to serve in comfort stations."
"Therefore, all women in comfort stations were prostitutes."

Why doesn’t Japan ever learn? Or do they purposely provoke Korean anger for some kind of unseen ulterior motive. Whatever the reason, the ugly picture of Japan defending its role and actions in World War II raises its ugly head again already in 2021.

This time, planned or unplanned, the poke in Korean eyes with a sharp stick comes from a Harvard Law School professor — the Mitsubishi Professor of Japanese Legal Studies — R. Mark Ramseyer, a man who was raised in Japan, and who two years ago was awarded the “Rising Sun” medal. While not a Japanese citizen himself, he is a man who represents Japan as much as anyone in or out of Japan can, plus he now carries the imprimatur of the Mt. Everest of universities, Harvard Law School. His article in a law journal has needlessly wrangled the raw emotions of Koreans once again.

One of my young colleagues who recently completed her MBA here in America, wrote meand asked me to write a response to the “Harvard statement” — that’s how it comes across, like it or not. She said a Harvard PhD should respond to the article and then she said she was so upset that she could not sleep “last night” and she repeatedly found herself crying about it. I received several other requests that I respond to the article. It is an emotionally raw issue that Japan keeps insisting on revisiting — they keep picking the scab so that it never has time to heal.

Let me begin with a story. When I lived in Korea in the late 80’s, in Busan, we had a maid who spoke with a thick dialect. It was a little bit inscrutable, because it was clearly South Gyeongsang, but not Busan, and it had touches of Japanese and even some Chinese. She was in her late sixties; born in the 1920s and would have been a late teen at the time of World War II. In asking her history I found she was born in western S. Gyeongsang, but as a pre-teen she was sent to live with her uncle in Harbin, China, then under the control of Japan. Her uncle was an officer in the Japanese military, and her father deemed it safer for her to be in the home of a Japanese military officer. Safer from what? They feared she could be kidnapped off the streets or otherwise forcefully recruited to serve the Emperor in the war effort by conscription in the “comfort women corps.”

Was her fear — and her family’s fear that was sufficient to send her 1,000 miles away to live with an uncle — justified? It was not unique. All over Korea, there were stories of women being forced, or tricked, or trapped, by one means or another into serving in the comfort corps. One heart-breaking story is of a loyalist high school teacher who heard of the “comfort corps” and its description as a kind of “USO”, “tea-and-crackers” organization, where women could do their part in supporting the war effort. The high school teacher recruited his academically top five girls, as an honor, to go off to serve; only to find later how naive he was when he understood the reality of the comfort corps.

The problem with the article by Harvard Law School’s Mitsubishi Professor is that it does n

ot deal with the greater issues of how women were recruited by force or trickery, but only deals with an arcane legal topic that only lawyers should read. He focuses on the legal structure of the brothel system, and makes the case that there were women who were indeed prostitutes who were recruited for the empire’s overseas, battlefront, “comfort stations”. He doesn’t deal with the women who were forced to join, who may have been kidnapped, or tricked into joining. Without giving a balanced account of how many were involuntarily “dragooned” — he criticized the use of that term in an earlier version of the paper — he only deals with the “legal” structure of the government brothels. I don’t think the professor intended to say or even imply that it was all well and good, but the austerity of the legalese and the sterility of the law school discourse was such that the text was devoid of all emotion for the women involved in these “contracts” that he was writing about.

The problem is not a new take on the legal brothels of wartime Japan. The problem is that the two governments, and the two people — of Japan and Korea — are on completely different standing on the issue. Korea sees the article as one more stone in the wall of Japan’s vile treatment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Japan is a “far-country mile away” from showing the sympathy and contrition that a war criminal should show. Japan is not Germany. Germany makes no defense for their war crimes — the Nazis, Hitler, a passive supporting public — are all condemned. Always. By all but the most right-wing element of Germany. Not so Japan.

Repeatedly Japanese officials (Prime Minister Aso, the Consul General to Atlanta, the Mayor of Osaka, et. al) are quoted as saying “they were prostitutes, weren’t they?” Herein lies the rub. The “Harvard article” — it dismays me to phrase it such, but that’s the way its treated in Korea — gives fuel to the fire. Yes, it talks about the legal issues of legal prostitution in legal, state-sanctioned brothels, as a legal issue. It’s as if the women did not exist. It’s only the law that’s being discussed. Antiseptic. Aloof. Disinterested. But it comes across the news wires as a new hot poker to jab in the eye of Koreans.

Sensitivity is not to be found in the legal treatise. Political sensitivity is not the concern of the author or of the journal. “Just the facts, ma’am,” like Joe Friday. But the journal and its content reinforces the insensitivity of the Japanese side, and heightens the sensitivity on the Korean side, for now, it’s not just “the lying, deceiving Japanese” it’s Harvard that is “against us”.

Timing is everything, as they say. The Harvard article deals with a place and time where

prostitution was legal. The author writes of legal prostitution in Japan and in Korea at the time. It is presented as an academic study of a legal issue at the time, as if it might have been dealing with buying real estate or contracting for building a house. That was then; this is now. When the Prime Minister or the Consul General says, “Well, they were prostitutes, weren’t they?” those officials are using todays value system to denigrate the “comfort women.” They are only prostitutes. It’s a way of denying that they were victims. The Harvard article backs them up, unemotionally — it was a contractual arrangement. Legal. Cold. Official. Nothing to be seen here; move on.

The Harvard article makes no pretense of telling the story of the comfort women in any comprehensive way. It does not mention the “Rape of Nanjing” where the city was raped or destroyed by the Japanese army for its dogged resistance in one of the worst battles of World War II, but it was also raped, literally by soldiers on a rampage of raping and killing in the aftermath of the battle, for which war crime the Japanese government responded by bolstering its comfort stations as a means of trying to keep soldiers in line sexually. You can’t understand the Japanese fostering of “comfort stations” without understanding the Rape of Nanjing. It’s one war crime in the place of another.

The relationship of the women to the brothel is explained as a ‘matter-of-fact’ legal arrangement. It mentions incentives to assure the women performed their duties well. But it does not describe the brothel owners as “pimps” who as a matter of course brutally beat the women for taking time off, or for offending a customer, or for contracting a disease, or for getting pregnant, or for no reason at all, just to keep them in line. The brutality of the system is only hinted at by the article’s phrases “difficult” or “dangerous”. Here, too, the austerity of the legalese obfuscates the raw dehumanization of comfort stations.

It did not mention the women of the Philippines who were also forced to serve the conquering Japanese soldiers. Nor does it mention the women of China. Nor Southeast Asia. Nor the Dutch women, some of whom were mothers with children who were captured in the Dutch East Indies (Indonesia, today). No, the article, an austere piece of legal scholarship, looks at contracts — contracts between prostitutes and the Japanese agencies. It does not attempt to describe the situation of Japan’s criminal exploitation of women during the war.

But as such, by looking at only one segment of the issue, the article does a great disservice. Yes, a legal scholar can write about legal issues in a time of war, a time past, a time irrelevant as a legal precedent for today’s issues. But when the implications of the article are the denigration of the lives of the few remaining comfort women, the denigration of the memory of the deceased comfort women, the stoking of the flames of distrust and hatred between two neighboring countries that have seen so much exploitation of one by the other, the revival of ill-will between Korea and Japan, the article takes on new meaning. The author may have honestly thought the issue was an interesting piece of legal history that hasn’t been explored. He may not of envisioned the maelstrom that his article would create in the Korean press. He may be dismayed that it is not an article that brings nations closer together, but acts as a torch to fire up old and painful memories. He may not be aware of any of this pain and ill-will. But that is what it has done. It has served to fire up old animosity, distrust, and hatred of Japan.

It’s unfortunate. But this “Harvard” article has ricocheted all through the Korean media, and like a bullet ricocheting through flesh, it has reopened old wounds. When will Japan and all of its spokespersons quit justifying the war crimes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just say, “We’re sorry?”

Mark Peterson is professor emeritus at Brigham Young University, where he taught Korean

studies for more than 30 years. Since retiring in 2018, he has run the YouTube channel “The Frog Outside the Well.”

마크 피터슨 교수 칼럼 국문 번역본

위안부, 다시 한국을 자극하는 일본

마크 피터슨(Mark Peterson) 브리검영 대학교 명예교수

마크 램지어(R. Mark Ramseyer) 하버드 법대 교수 논문의 논리적 전개와 해석 방식은 아래와 같다.

"고속도로에 파란색 자동차들이 달려가는 것을 보았다. 따라서 모든 자동차는 파랗다“
"위안소에는 원래 매춘부였던 여자들이 위안부로 모집되어 있었다. 따라서 위안소에 있는 모든 여자들은 매춘부다.“

일본은 왜 아직도 배우지 못했을까? 아니면 뭔가 숨은 의도를 갖고 일부러 한국인들을 도발하는 것일까? 무슨 이유이든 2차 세계대전 당시 행위를 두둔하는 일본의 추한 모습이 2021년에도 다시 한 번 고개를 들고 있다.

최근 논문을 흉기로 삼아 한국인의 눈을 찌른 장본인은 하버드 법대 교수다. 공식 직함이 '미쓰비시 일본 법학교수(Mitsubishi Professor of Japanese Legal Studies)`인 램지어 교수는 일본에서 유소년 시절을 보냈으며 2년 전 일본 정부 훈장인 욱일장을 받았다. 그는 일본 사람은 아니지만 그간 어느 누구보다 열심히 대내외적으로 일본을 홍보해왔다. 그리고 이번에는 세계 최고의 대학 하버드 법대에서 나온 논문으로 일본의 입장을 두둔하며 또 다시 한국인의 상처에 소금을 뿌려댔다.

얼마 전 내 동료 가운데 최근 미국에서 MBA를 마친 한 젊은 친구는 램지어 교수의 ‘하버드 논문’에 대한 의견을 알려달라고 메일을 보냈다. 그는 ‘하버드 박사 출신이라면 당연히 이 논문에 대해 의견을 밝혀야 한다’며 자기는 너무 화가 나서 전날 밤 한숨도 못 잤고 울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적잖은 사람들로부터도 이 논문에 대해 의견을 밝혀달라는 요청을 여러 번 받았다. 그만큼 이 문제는 감정이 격해지는 사안이다. 일본은 언제나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입장을 고집해왔으며 매번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딱지를 떼어내 버린다.

개인적인 경험을 하나 이야기하자면 나는 1980년대 후반 부산에 살았던 적이 있다. 당시 우리 집에는 강한 경남 사투리를 쓰는 60대 후반의 가사도우미 아주머니가 한 분 계셨는데 나는 그녀에게서 제2차 세계대전 무렵 그녀의 과거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다. 경남 서부에서 태어난 그녀는 십대 초반에 부모님에 의해 중국 하얼빈에 있는 삼촌 집으로 보내졌다고 했다. 당시 하얼빈은 일제 하에 있었고 삼촌은 일본군 장교였다. 부모는 왜 어린 딸을 머나먼 타지로 보내는 결정을 하게 됐을까? 자기 딸이 길거리에서 납치당하거나 천황을 위해 봉사하는 ‘위안부(comfort women corps)’로 징집될까 두려웠던 것이다.

이런 생각은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강제로 잡혀갔거나 속아서, 혹은 궁지에 몰려서 위안부로 징집된 여자들의 이야기는 당시 한국 어디서나 찾아볼 수 있는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있었던 한국의 한 고등학교 교사의 사연도 가슴 아프다. 그 교사는 ‘군 위안부’에 대해 USO(미국위문협회, United Service Organization)처럼 다과를 접대하는 곳 정도이며 여자들도 전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원할 수 있는 일이라고 자신이 들은 대로 학생들에게 설명했다. 그래서 자기 학교에서 가장 성적이 좋은 여학생 다섯 명을 선발해 군위안부로 보냈다. 그는 나중에 위안부의 실체에 대해 알게 된 뒤에서야 자신이 얼마나 순진했는지 깨달았다고 한다.

이번 램지어 교수 논문의 문제점은 피해자들이 어떻게 강제로, 또는 속아서 위안부가 됐는지에 대해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않는다는 점이며 변호사들만 읽을 수 있는 알기 힘든 법적인 주제로만 국한시켰다는 점이다. 램지어 교수는 매춘제도의 법적인 구조(legal structure)에만 초점을 맞춰 일제의 해외 전쟁터에 설치된 ‘위안소’에 채용된(recruited) 매춘부들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강제로 끌려왔거나 납치되어 혹은 속아서 잡혀온 여자들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 그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기 의사에 반해서 ‘동원됐는지(dragooned)’에 대해 균형 있게 다루지 않은 채 ‘동원됐다’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나는 저자가 이 문제에 대해 ‘다 좋았고 잘 됐다’고 말하려고, 혹은 그런 암시를 주기 위한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보진 않는다. 그러나 법률 용어를 엄격하게 사용한 점과 하버드 법대의 담론 부재가 드러나는 그의 논문에는 그 ‘계약’을 맺은 여자들에 대한 감정이 전혀 담겨있지 않다.

문제는 전쟁 당시 일본이 합법적으로 운영한 유곽(legal brothels)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아니라는 점이다. 양국 정부와 양국 국민들이 이 사안에 대해 전혀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한국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일제 강점기에 겪은 핍박의 상처를 다시 한 번 후벼 판 것으로 여긴다. 일본은 전범국가로서 마땅히 보여야할 사죄와 동정과는 ‘멀찍이(far-country mile away)’ 거리를 두고 있다. 이 점에서 독일과 다르다. 독일은 자국의 전쟁 범죄에 대해 결코 두둔하지 않는다. 나치, 히틀러, 그리고 이들을 수동적으로 지지했던 대중들은 독일에게 있어 비난의 대상이다. 하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

아소 다로 전 일본 총리, 애틀랜타 일본 총영사, 오사카 시장 등 일본 관료들은 끊임없이 “그들은 창녀다. 그렇지 않은가”라고 위안부 피해자들을 비하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램지어 교수의 논문은 국가가 허가한 유곽에서 이뤄진 합법적인 매춘에 관한 법적인 문제에 대해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오로지 법적 잣대만을 들이대는 그의 논문은 마치 소독약처럼 냉정하며 무관심하다. 저자와 학술지 모두 정치적 세심함은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 미국 TV드라마에서 “사실만 말하세요”라고 말하던 경찰관 조 프라이데이(Joe Friday)같다. 이성적이고, 학술적이라는 논문의 형식은 외려 일본인들의 불감증을 감성적으로 강화시키고, 한국인들에게는 ‘거짓말쟁이 사기꾼 일본인’뿐만 아니라 하버드가 지금 자신들과 반대편에 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램지어 교수의 논문은 감정을 배제한 채 ‘계약상 합의 내용’이었다는 논리로 일본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합법적이고 냉정하며 공식적이다. 법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 이제 넘어가자는 식이다. 그러나 그는 법적인 문제 외에 위안부들에 관해 포괄적으로 이야기하려고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논문은 ‘난징대학살(난징 강간)’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난징대학살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최악의 전투 중 하나로, 일제의 침략에 거세게 저항하다 도시 전체가 강간과 파괴로 얼룩지게 된 사건이다. 일본군은 전투를 치른 뒤 여자들을 강간하고 사람들을 죽이며 난동을 부렸다. 이로 인해 일본 정부는 자국 병사들의 성욕 해소를 위한 수단으로 위안소 운영을 강화하게 됐다. 일본의 위안소 운영 확대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려면 반드시 난징대학살에 대해 알아야 한다. 이것은 다른 범죄를 대신하기 위해 자행한 또 다른 전쟁 범죄다.

램지어 교수의 논문에서 위안부 여자들과 위안소 사이의 관계는 ‘사무적인’ 법적 합의사항(‘matter-of-fact’ legal arrangement)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의 논문은 여자들이 맡은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줬다고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잠시 쉬었다는 이유로, 손님을 언짢게 했다는 이유로, 병을 옮기거나 임신을 했다는 이유로 여자들을 난폭하게 때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포주 역할을 했던 유곽의 주인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위안소 제도의 이 같은 잔인한 면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에 ‘어렵다, 위험하다(difficult, dangerous)’ 정도로 적힌 것이 전부다. 저자는 엄격한 법률 용어를 사용하면서 정작 위안소의 적나라한 비인간적인 처우에 대해서는 애매모호하게 말하고 있다.

램지어 교수의 논문은 매춘부와 일본 정부 간 계약에 대해 말하고 있는 단조로운 법학 논문이다. 그는 위안부라는 이름으로 일본군에게 강제로 끌려간 필리핀 여자들에 대해서도, 중국 및 동남아 여자들에 대해서도, 네덜란드 여자들에 대해서도 논하지 않았다. 심지어 위안부로 끌려간 네덜란드 여자들 중 몇 명은 오늘날 인도네시아로 알려진 옛 네덜란드 동인도 지역에서 아이들을 키우던 사람들이었다. 저자는 일본이 전시에 저지른 여성 착취 범죄 상황 전반에 대해서는 논하고자 하지 않는다.

이처럼 문제를 단편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은 굉장한 폐해를 낳고 있다. 물론 법학자는 전쟁 시의 법적인 문제에 대해 다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과거 어느 때 혹은 시간과는 무관하게 오늘날 이슈의 전례가 되는 법률 문제에 대해 글을 쓸 수는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삶과 이미 작고한 위안부 여성들에 대한 명예를 훼손하고 서로 골이 깊어진 두 이웃 국가 간의 불신과 증오에 불을 지피는 것이라면, 또 그로 인해 양국 간 악의적인 감정이 재발하는 것이라면 이 논문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저자는 솔직히 이 문제가 아직 다뤄지지 않은 법학 역사의 흥미로운 일부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자신의 논문이 끼칠 대혼란에 대해서는 상상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그는 이 논문이 양국을 더욱 가깝게 만들어 주기는커녕 오히려 고통스러운 기억의 불씨에 불을 지폈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을 수도 있다. 램지어 교수는 이런 고통이나 악의에 대해 전혀 인지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미 벌어진 일이다. 그의 논문은 일본에 대한 한국의 오랜 반감, 불신, 증오에 불을 질렀다.

불행한 일이다. 그러나 이 ‘하버드 논문'은 모든 한국의 모든 매체를 뒤흔들었고, 마치 살을 뚫고 나가는 총알처럼 해묵은 상처를 다시 헤집어 놓았다.

과연 언제쯤 일본과 일본을 대표하는 모든 이들이 20세기 초 자국이 저지른 전범 행위에 대해 정당화를 그만두고 그저 “미안하다”고 말할까?

마크 피터슨 미국 브리검영 대학 명예교수는 하버드 대학 동아시아학 박사 출신으로 브리검영 대학에서 30년 이상 한국 역사를 강의했으며 2018년 은퇴했다. 현재 '우물 밖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