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11월 02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유시문'기자의 전체기사

조선왕실 숨겨진 추문들

조선왕실 숨겨진 추문들조선이란 사회는 성리학이 지배한 사회이다. 성리학은 학문 이상으로 그 시대 이데올로기였다. 그렇게 엄격한 자기 절제가 필요했던 시대 성(性)이란 과연 어떤 식으로 접근되어졌을까?그런데 조선왕조실록에 의외로 간통 사건이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3 12:18

조선말~1950년대 결혼식 사진들

조선말~1950년대 결혼식 사진들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20-12-03 12:04

일련종의 역사와 일련종(日蓮宗)의 성립(成立)

일련종의 역사 日蓮宗의 歷史(日蓮宗開敎布敎所 所長 平井智親 스님)일련종의 역사와 일련종(日蓮宗)의 성립(成立)일련성인의 제자들은 다섯개의 문류를 형성하고 절차탁마(切磋琢磨)하여 포교에 힘썼습니다. 각각의 문류(流)중에는 분파독립(分派獨立)하는 일이 있거나, 또는 문류동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1 20:54

내시들의 무덤 초안산 楚安山

내시들의 무덤 초안산 楚安山도봉산의 지맥이 남쪽으로 이어져 월계동에서 산봉우리를 형성한다. 높이는 약 115.5m이며 동쪽에는 중랑천이 흐르고 서쪽에는 우이천이 흐른다. 초안산 남쪽 일대는 예안이씨의 선산이었으며 조선시대 예안이씨 묘역과 전통한옥인 각심재(恪心齋)가 자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1 19:37

별이 빛나는 밤, 하늘을 그리고 지혜를 얻다

 별이 빛나는 밤, 하늘을 그리고 지혜를 얻다별이 빛나는 밤, 하늘을 그리고 지혜를 얻다 역사시대 이전부터 시작된 한국의 전통 천문학은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이어왔다.우리 조상들은 다양하고 많은 천문 유산을 남겼는데, 천문 역법과 무덤에 그려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1-30 20:24

문자 사용? 그 흔적을 찾아서!

문자 사용? 그 흔적을 찾아서!대외교역에 쓰인 고대 한반도의 문구(文具) 한반도에서 살아가던 고대인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시각을 어떻게 공유했을까?  완전하진 않지만 그들에게도 의사소통의 수단이 있었을 것이고, 어쩌면 ‘문자’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아니, ‘문자’의 역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30 19:51

막걸리 "간에 좋다“

막걸리 "간에 좋다“한국의 전통술. 막 걸러낸 술이라고 하여 ‘막걸리’라는 이름이 붙었고, 색깔이 탁하여 탁주(濁酒)나 탁배기, 농사를 지을 때 먹는 술이라고 하여 농주(農酒), 거르는 과정에서 찌꺼기가 남은 술이라고 하여 재주(滓酒), 신맛을 없애기 위해 재를 섞는다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1-30 18:21

안중근의사 순국 110주년 기념의 해인 2020년 장흥 해동사(長興 海東祠)

안중근의사 순국 110주년 기념의 해인 2020년 장흥 해동사(長興 海東祠)해동사는 안중근의사의 위패를 모신 전국 유일의 사당이다.장흥 '해동사' 방문의 해로 지정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1호해동사(海東祠)는 안중근의사(1879.9.2~1910.3.26)를 배향하는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30 17:49

그 시절 1960년대의 복식

1960년대의 패션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20-11-30 11:42

조선시대 신분 계급적 표현 묘비석이야기

묘비석이야기(조선시대 신분 계급적 표현)무덤의 품계-별감, 통정대부, 가선대부, 훈장 등 비석은 신분 품계에 따라 크기나 모양이 다르다.특히 비석에 새겨진 품계는 신분 질서의 계급적 표현이기 때문에 당대의 시대상을 알 수 있다. 동자석이 새워진 비석의 주요 용어와 품계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30 11:22

제19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최종 당선작

제19회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최종 당선작 코로나19 시국에 자유롭게 바깥 나들이가 어렵다 보니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랜선여행이다.  그 중 사진으로 또는 영상으로 여행을 감상할 때 느끼는 짜릿함과 아련함은 특별하다.  더구나 올 한해를 지운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20-11-30 10:49

국보 ‘포항 중성리 신라비’ 실물 공개

국보 ‘포항 중성리 신라비’ 실물 공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11.30.~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역사관 3실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국립경주박물관과 함께 11월 30일부터 ‘포항 중성리 신라비(국보 제318호)’ 실물을 국립경주박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1-30 09:48

제17회 불교출판문화상 대상은 노승대 작가의 `사찰에는 도깨비도 살고 삼신할미도 산다'가 선정

제17회 불교출판문화상 대상은 노승대 작가의 `사찰에는 도깨비도 살고 삼신할미도 산다'가 선정됐다.불교출판문화상 대상 수상작 『사찰에는 도깨비도 살고 삼신할미도 산다』 출간 “한국문화의 뿌리는 삼신사상”…‘불교와의 만남’ 조명한 40년 동안 문화답사 경력 가진 지필 노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1-29 17:40

역사 속 전라도 굽이굽이 한 많은 ‘영산강’ 3백리

역사 속 전라도  굽이굽이 한 많은 ‘영산강’ 3백리 영산강 굽이도는 푸른 물결 다시 오건만똑딱선 서울 간님 똑딱선 서울 간 님기다리는 영산강 처녀못 잊을 세월 속에 안타까운 청춘만 가네길이 멀어 못 오시나 오기 싫어 아니 오시나아~ 푸른물결 너는 알지 말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1-29 16:40

세계 유일의 독창적 콘텐츠, 진안 가위박물관

독창적 콘텐츠의 진안 가위박물관"가새가새 보러 가세 진안 가위 보러 가세용담 백성 소박하고 마이산은 신비한데고려 가위 잠을 깨어 귀한 자태 드러냈네우리 인생 시작할 적 처음 만난 문명일세사는 동안 곁에 두고 친구처럼 지내더니우리 삶에 마지막에 함께 하는 동지일세"-중략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1-29 10:05

  • 86
  • 87
  • 88
  • 89
  • 90

최신기사

2025-11-01 11:36
뉴스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갑주와 갑주함」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5-11-01 11:26
뉴스

세계적 현악기 ‘스트라디바리우스 베수비오’ 덕수궁에서 국내 첫 공개

2025-10-30 13:42
뉴스

웰니스로 떠나는 치유의 길, 한국 웰니스 관광 온(溫)라인 페스타 개최

2025-10-30 12:14
뉴스

국보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대수술 마치고 3년 만에 제자리로

2025-10-30 11:57
뉴스

「거제 수정산성」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

인기기사

  • 1

    죽음과 구원의 안내자

  • 2

    ‘2025 APEC 정상회의’ 맞아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실험 현장 공개

  • 3

    가을 억새 무르익은 동구릉 ‘건원릉 능침’(태조 이성계) 특별개방

  • 4

    고종의 길 ‘구(舊) 조선저축은행 중역사택’, 대국민 특별 공개(10.28.~12.7.)

  • 5

    경복궁을 호위하라!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 개최(10.31.~11.2.)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