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11월 17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동양고전

*한신의 최후 가 거록의 태수로 임명되어 회음후 한신에게 작별인사를 하러 왔다. 회음후가 그의 손을 잡고 좌우를 물리친 뒤에 그와 함께 뜰을 거닐면서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말했다. "그대에게는 말할 수 있겠지? 그대와 함께 하고 싶은 말이 있소." 진희가 말했다. "예, 장군께서는 명령만 하십시오." 회음후 한신이 말했다. "그대가 가는 곳은 천하의 정예 병사들이 모인 곳이오. 그리고 그대는 폐하께서 신임하는 총신이오. 누군가 그대가 모반하였다고 고하더라도, 폐하께서는 반드시 믿지 않을 것이오.

기획 유시문 기자 2015-10-03 11:37

친일의 한국사

한국사친일의 역사는 참으로 끈질기다. 근현대사에서 나타나는 독재, 친일의 뿌리가 오늘까지 이어오고, 독립운동을 하면 삼대가 망하고, 친일, 독재에 부역하면 삼대가 흥하는 기막힌 시대가 되었다.답답한 마음에 한국사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해 보았다해방후 반민특위에서 친일파들을

뉴스 유시문 기자 2015-10-03 11:28

활옷

활옷활옷은 공주와 옹주가 입던 대례복으로 오늘날에는 혼례 때 폐백복으로 그 전틍을 이어가고있다. 활옷은 활의라고도 하며 옆이 트이고 앞자락이 둘, 뒷자락이 하나로 뒷자락은 앞자락보다 20cm 정도 길다. 다홍색에금박으로 이 활옷은 소매 자락과 뒤판에도 존귀한아름다운을

문화 유시문 기자 2015-10-03 11:21

복어계획을 아는가

"복어계획"을 아는가?양력 개천절을 하루 앞두고, 조작의 역사를 사는 나라들은 반성 할지어다!<펌> 유대인이 왜 만주에 이스라엘을 세우려고 했을까?이란의 마무드 아마디네자드가 시온주의와 홀로코스트를 언급하며 시온주의자들의 실체와 홀로코스트는 허구라는 것을 그가 언급했었습니다. 북과 이란은 유대인의 실체를 안다는 것이지요.실체를 알아야 통일조국에서 정신줄 놓지 않고 우리 후손과 아이들에게 온전한 나라와 유산을 남길 수 있는 겁니다.고로 유대인은 중국과 일본처럼 우리의 시원문명을 탈취하려고

뉴스 유시문 기자 2015-10-03 11:13

개천절이 뭐하는 날인가

개천절의 정의.우리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 입니다.개천절 의미.10월 3일. 서기전 2333년(戊辰年), 즉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다.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 명절이라 할 수 있다.단기 4348년, 개천절은 한민족이 개국한 날입니다. 개천절은 한민족의 뿌리를 마음

뉴스 유시문 기자 2015-10-03 10:46

인풀루엔자 예방접종

친구공개 나만보기 관심글 설정날씨가 부쩍 쌀쌀해 졌어요.이맘때면 꼭 챙겨야하는 것! 바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인데요,   올 10월부터 어르신들은 보건소 뿐 아니라 전국 병의원(지정의료기관)에서도        인풀루엔자 예방접종을 무료로 받을 수 있어요. 1950년 12월 31일 이전에 출생한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 대상이에요.   * 무료접종 기간: (지정의료기관)10.1.~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15-10-03 09:55

5분 한국사 이야기

인터넷에서 흔히 보이는 착각 중 하나가 우리나라 사학계가 고조선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런 낭설이 어디서부터 나왔는지는 의문이네요. 물론 그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기는 하지만 단군으로 대표되는 고조선의 존재는 중국과 우리의 여러 문헌에서 확인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15-10-03 09:25

어서 해석 8

法華經題目抄(법화경제목초) [本文(본문)] [이 須彌山(수미산)에 바늘을 세우고, 저 須彌山(수미산)에서 大風(대풍)이 강하게 부는 날, 실을 건네 보내는데 바늘 구멍에 이르러 실 끝이 들어가는 것보다도, 法華經(법화경)의 題目(제목)을 만나기는 어렵도다]  [通釋(통석)] [이쪽의 須彌山(수미산)에 바늘을 세우고, 저편의 須彌山(수미산)에서 큰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 실을 건네 보내는데 그것이 바늘의 구멍에 닿아서 실의 끝이 들어가는 것보다도, 法華經(법화경)의 題目(제목)을 만나시게 되는 것

기획 유시문 기자 2015-10-03 09:22

어서 해석 7

妙一女殿答書(묘이치뇨전답서)[本文(본문)] [女人(여인)의 몸으로서 자주 이와 같이 法門(법문)을 물으시는 것은 참으로 예사가 아니로다. 敎主釋尊 (교주석존)이 그대의 몸에 바꾸어 들어가셨음인가, 龍女(용녀)의 뒤를 이으셨는지 또한 橋曇彌女(교담미녀)가 두 번 오심일까, 알 수 없도다, 그대는 당장에 五障(오장) 의 구름이 걷혀서 寂光(적광)의 覺月(각월)을 바라다 보시라] [通解(통해)] [女人(여인)의 몸으로서 자주 이와 같이 法門(법문)을 질문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예사가 아니로다. 敎主釋尊(

기획 유시문 기자 2015-10-03 09:10

구기자의 효능

지골피 (구기자) 9가지 기운이 있고 만병통치약  신비의 불로장생 구기자  지골피(구기자)의 효능  1.구기자  (지골피)   자주색의 꽃은 종처럼 생겼으며, 6~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15-10-03 08:56

무우의 10대 효능

무우의 10대 효능    1.소화 촉진무는 천연소화제라 불릴만큼 소화를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무에는 디아스타아제라는 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소화를 촉진시켜  준다. 소화가 안되는 고기나 생선회와 먹어도 지방과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15-10-03 08:51

과일에 숨겨진 비밀

과일에 숨겨진 비밀   1. 사과 :   이질, 설사, 변비, 구토, 두통에 좋은 약이 된다.   얼굴에 마른버짐이 생기거나, 피부에 윤기가 없고 푸석푸석할 떄는 사과잼을 바른다.   저녁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15-10-03 08:48

혈액순환이 안되면 나타나는 현상

기억력 감퇴, 손발 저림, 탈모 등 나이 들어서 어쩔 수 없이 생기는 ‘병’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게 어쩌면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사실. 오피스  우먼 세 명의 혈액 순환 상태를 점검해 봤다. 지금 당신이 고민하고 있는 그 문제도 모두 혈액 순환 때문일지 모른다. 기억력 감퇴  :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 감소아직 젊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깜빡한다면 한번쯤 의심해 볼 것. 혈액 속 산소가 부족해 뇌 기능이 원활하지 못해서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15-10-02 14:28

어서 해석 6

賴基陳狀(요리모토진죠) [本文(본문)] [法門(법문)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을 꺼려하고 世上(세상)을 두려워해서, 부처가 說(설)하신 대로 經文(경문)의 實義(실의)를 말하지 않는 것은 愚者(우자)의 至極(지극)이니라.]  [通釋(통석)] [法門(법문)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을 꺼려하고 世上(세상)을 두려워해서, 부처가 說(설)하신 대로 經文(경문)의 實義(실의)를 호소해 나가지 않는다는 것은,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입니다.][拜讀(배독)의 참고]日蓮大聖人(니치렌대성인)님은 여기에서 末法(말법)의

기획 유시문 기자 2015-10-02 14:12

혼자사는 법을 찾아 두자

혼자사는 방법을 찾아 두자어느날 아내와 석촌호수 산책길에서 외롭게 밴취에 앉아 있는77세의 노인 곁에서 잠시 쉬면서 대화를 나눴습니다,대구에서 살다가 올봄에 아내가 먼저 세상을 떠나 대구 재산을 정리하고서울에 사는 아들집에 와서 살고 있다고 합니다.할아버지는 씁쓸한 미

문화 유시문 기자 2015-10-02 13:30

  • 241
  • 242
  • 243
  • 244
  • 245

최신기사

2025-11-17 14:51
뉴스

덕수궁 석조전 밤공기에 은은히 스며드는 클래식 연주

2025-11-17 14:20
사진이야기

보성 오봉산 용추동과 칼바위 일원, 여수 거문도 수월산 일원 자연유산 명승 지정

2025-11-16 12:26
문화

맛보고 싶은 그림, 만지고 싶은 그림 고희동과 이도영이 합작한

2025-11-16 12:15
뉴스

「부안 격포리 페퍼라이트」, 「부안 도청리 솔섬 응회암 내 구상구조」 천연기념물 지정

2025-11-16 12:04
뉴스

「김우진 희곡 친필원고」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인기기사

  • 1

    죽음과 구원의 안내자

  • 2

    ‘2025 APEC 정상회의’ 맞아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실험 현장 공개

  • 3

    K 푸드의 뿌리, 장 담그기 문화

  • 4

    가을 억새 무르익은 동구릉 ‘건원릉 능침’(태조 이성계) 특별개방

  • 5

    고종의 길 ‘구(舊) 조선저축은행 중역사택’, 대국민 특별 공개(10.28.~12.7.)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