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련, 법화경과 그영향

일련의 법화경과 그 영향에 대한 책 출간 

 
 
대승불교-교리적 토대와 성립 표지정면.jpg
 
 
 
도서출판 민족사에서 ‘세존학술총서’ 4번째 책 『대승불교』를 출간했다.
 
민족사는 경기도 고양시 소재 작은 절인 용화사 주지인 성법 스님(세존학술연구원장)의 원력과 박찬호 거사의 기부, 희사정신으로 외국의 뛰어난 학문적 성과물들을 국내에 제공하여 후학들의 학문탐구에 일조가 되어 보자는 입장에서 해외 우수 학술서들을 ‘세존학술총서’로 번역· 출판하고 있다.
 
저자 폴 윌리엄스는 서문에서 ‘이 책이 대승불교의 사상과 이 분야에 대한 최근의 학문적인 성과들에 대한 합리적이고 개괄적인 소개와 함께 연구를 더 진행하고자 하는 고급 수준의 학생들을 위한 참고서로의 역할을 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소개한다.
 
조환기 교수는 역자 서문에서 『대승불교』를 읽는 독자에게 대승불교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그는 ‘역자의 관점에서 보면 대승불교는 하나하나의 중생들의 아픔과 고통에 대해 치유하고 해답을 제시하려고 노력한 종교이다. 즉 대승불교는 중생들 각각의 경우에 맞게 중생들을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한 종교이다. 그러한 결과로서 하나하나가 모여 전체가 되는 구조, 그래서 일체중생의 이익을 위한 불교가 되었다고 본다’라고 밝히고 ‘독자들이 대승불교를 통해 자신의 경우에 맞는 해답을 찾고 불교 그리고 대승불교가 궁극적으로 목표한 -고통에서 벗어난 해탈의 길을 찾을 수 있기를 바라 마지않는다‘고 덧붙였다.
 
폴 윌리엄스 지음 / 조환기 옮김 ∥ 민족사 펴냄
신국판 양장 ∥ 704쪽
48,000원
 
 
저자: 폴 윌리엄스(Paul Williams)
 
1950년에 태어나 옥스퍼드대학에서 불교철학으로 학위를 받았다. 브리스톨대학의 인도 티베트철학의 교수이자 불교연구소의 공동책임자를 역임하였다. 영국 불교학회의 전임회장이다.
저서로는 『The Reflexive Nature of Awareness: A Tibetan Madhyamaka Defence』 (1998), 『Altruism and Reality: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the Bodhicaryavatara』 (1998), 『Buddhist Thought: A Complete Introduction to the Indian Tradition』 (2000; 2011, 공저), 『The Unexpected Way: On Converting from Buddhism to Catholicism』 (2002), 『Songs of Love, Poems of Sadness: The Erotic Verse of the 6th Dalai Lama』 (2004) 등이 있다.
 
역자: 조환기
 
연세대에서 불교학생회와 대학생불교연합회 활동을 하던 중 불교철학에 매력을 느껴 동국대 인도철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인도불교의 유식을 전공하였다. 동국대 및 용인대 등에서 강의를 하였고, 동명대 불교문화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 동국역경원에서 다수의 경전과 논서를 번역하였고, 한·중·일 3국 불교의 황금 유대를 통해 현대 중국불교를 이끈 조박초를 한국에 소개하고 있다. 또한 한국불교의 항일독립운동을 선양하는 일에 관심을 두고 있다. 역서로 중국 근대 4대 고승의 『불법의 근본에서 세상을 바꿔라―태허대사』가 있다.
 
 
 
 목 차
 
간행사 요약 … 3
추천의 글 … 7
저자 서문 … 16
역자 서문 … 19
일러두기 … 22
 
제1장 서론 … 23
1. 불교 - 교리의 다양성과 계율의 통일성 … 23
2. 인도의 배경 … 38
3. 변화를 촉진시킨 요소들 … 48
4. 아비달마 … 53
5. 대중부와 출세간부 … 58
6. 대승의 기원과 재가신자 … 65
7. 대승 이전의 대승 - 『아지타세나경』 … 78
8. 대승의 기원들에 대해서 - 다른 경전들을 통해 … 83
9. 대승경전들의 당위성 … 103
 
제2장 지혜의 완성(반야부 경전) … 115
1. 대승경전에 관하여 … 115
2. 반야부 경전의 기원과 발달 … 120
3. 지혜(반야)와 지혜의 완성 … 125
4. 무아설(無我說) … 130
5. 보살 … 138
 
제3장 중관 … 156
1. 용수와 제바 … 156
2. 인도에서 중관학파의 발전 … 161
3. 공과 자성 - 양립할 수 없는 대립 … 168
4. 중관파의 방법론 … 175
5. 중관파의 3가지 비판 … 179
1) 인연에 대하여 … 179
2) 자아에 대하여 … 182
3) 열반에 대하여 … 183
6. 두 가지 진리[二諦] … 187
7. 선정과 공(空) … 195
8. 중국과 동아시아의 중관파 … 198
12 대승불교
 
제4장 유식 … 203
1. 배경 … 203
2. 유식학자들과 논서들 … 208
3. 삼성설(三性說, trisvabhāva) … 213
4. 마음 … 223
5. 알라야식, 의식과 아말라식 … 233
6. 유식파의 계속되는 논쟁 … 242
 
제5장 여래장사상 … 249
1. 여래장 계통의 경전들 … 251
2. 『보성론』의 여래장사상 … 264
3. 티베트의 타공(他空)과 자공(自空)의 논쟁 … 270
4. 『대승기신론』과 동아시아의 여래장사상 … 278
5. 도원의 불성이론 … 287
6. 현대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 태국불교에서 비판불교와 무아설에 대한 논쟁 … 293
6-1. 비판불교 … 293
6-2. 현대 태국불교의 무아설 … 301
 
제6장 화엄사상 … 311
1. 중국불교 … 311
2. 『화엄경』 … 319
3. 중국의 화엄종 … 330
4. 화엄사상 - 법장의 「금사자장」 … 337
5. 화엄 수행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연구 … 344
6. 불교예술에서의 『화엄경』과 비로자나불 … 346
 
제7장 『법화경』과 그 영향 … 351
1. 『법화경』과 그 영향 … 351
2. 천태(Tiantai, Tendai) 사상 … 385
3. 일련(日蓮)과 일련정종(日蓮正宗) … 392
 
제8장 불신관(佛身觀) … 409
1. 대승에 대한 서론 … 409
2. 불신(佛身)과 공의 철학 … 416
3. 유식학파의 체계적인 발달 … 422
4. 불신관에 대한 게룩파의 견해 … 428
5. 마지막 관점 : 무여열반과 붓다의 수명 … 433
 
제9장 보살도 … 437
1. 티베트에 도달한 불교 … 437
2. 8세기의 논쟁들 … 445
3. 자비와 보리심 … 451
4. 보살지와 바라밀들 … 463
 
제10장 믿음과 헌신: 붓다와 보살 숭배 … 481
1. 염불 … 481
2. 반주삼매와 혜원 … 487
3. 불국토의 관념 … 494
4. 보살들 … 501
4-1. 미륵 … 501
4-2. 관세음보살 … 509
4-3. 타라(Tārā)보살 … 520
4-4. 문수사리보살 … 524
4-5. 지장보살 … 531
5. 붓다들 … 536
5-1. 아촉불 … 536
5-2. 약사여래 … 544
5-3. 아미타불 … 551
6. 중국에서의 아미타불 정토 … 565
7. 법연(法然, Hōnen) … 589
8. 친란(親鸞, Shinran) … 603
 
·참고 문헌 … 617
·찾아보기 … 667
·간행사 전문 … 691
 

편집부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