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9월 09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획

기획

묘법연화경에 귀명례(歸命禮)하라.

부처님의 자비(慈悲)의 당체가 바로 법화경이다. 일체 중생의 성불의 직도(直道)를 설하심 보다 더한 자비가 또 별도로 있겠는가. 수량품의 자아게는 매자작시의(每自作是意) 이하령중생(以何令衆生) 득입무상혜(得入無上慧) 속성취불신(速成就佛身) 매양 스스로 생각하기를 중생으로 하여금 위없는 지혜를 얻게 하여 부처님 몸을 속히 이루게 할까 하노라. 부처님 세존께서는 이렇게 중생 성불을 매양 간절히 원하고 생각하신다는 게송이다. 이보다 더 큰 자비가 또 어디 있겠는가. 법화경의 진리가 곧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4-06 16:11

불교라고 하면 부처님이 근본입니다.

불교라고 하면 부처님이 근본입니다.   "어떤 것이 부처냐" 하고 묻는다면 여러 가지로 대답할수 있지만 그러나 실제로 부처라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말하기는 좀 곤란한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의 근본 원리 원칙을 생각한다면 곤란할 것도 없습니다. 모든 번뇌망상 속에서 생활하는 것을 중생이라 하고 일체의 망상을 떠난 것을 부처라고 합니다. 모든 망상을 떠났으므로 망심이 없는데 이것을 무심(無心)이라고 하고 무념이라고도 합니다. 중생이란 망상 속에서 생활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4-06 15:54

미륵신앙의 역사와 특징

미륵신앙의 역사와 특징 새 세상이 와야 한다’, ‘새 부처가 와야 한다’는 미륵신앙의 민중적 요청   불교경전상의 미륵사상   ‘미륵’이라는 명칭은 범어로 마이트레야(Maitreya)인데 한자로 미륵이라고 음역하였고 그 뜻은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4-06 13:57

묘볍(妙法)의 양약을 먹어라

묘볍(妙法)의 양약을 먹어라 제바달다품에서 지적보살과 사리불은 용녀의 성불을 의심하였으나 여인 성불이 눈앞에 드러나자 입을 다물고 할 말을 잃었도다. 지적보살과 사리불의 의심은 방편(方便)의 별교(別敎)의 입장이다. 이승삼승(二乘三乘)과 오역죄인 일천제(一闡提)와 여인등이 성불함은 볶은 종자에 싹이 트는 것과 같고 고목에 꽃이 피고 열매가 맺음과 같도다. 이는 오로지 묘법연화경이 아니면 이루지 못할 일이로다. 팔세 용녀가 돈초성불(頓超成佛)함은 원교(圓敎) 보살의 일이로다. 별교(別敎)는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5 16:47

일제가 한국 궁궐안에 지은 이또 히로부미 사당

일제가 한국 궁궐안에 지은 이또 히로부미 사당   탕 ! 탕 ! 탕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에서 황천길로 보낸 <이토우 히로부미伊藤博文>   탕 ! 탕 ! 탕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에서 황천길로 보낸 <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5 16:05

일본의 사쿠라桜(벚꽃)전선& 관련 상술과 상품

일본의 사쿠라桜(벚꽃)전선& 관련 상술과 상품   사쿠라桜(벚꽃) 젠센前線 !한국말로 하면 전국 마다 다른 개화시기를 이야기 한다.   벚꽃 개화시기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5 15:39

19일 강효백 교수 “무궁화는 일본인들의 꽃” 주장

"무궁화, 일장기 상징" 주장에 日네티즌들 "일본꺼 맞아"   -19일 강효백 교수 “무궁화는 일본인들의 꽃” 주장 -일본 현지에서 강효백 교수 주장에 폭발적 관심 -강 교수의 주장 실은 기사 번역해 유튜브 공유 -유튜브 조회수 수일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5 15:20

일본 나고야에 있는 '호사문고(蓬左文庫)'

  * 蓬左(호사)문고; 일본 名古屋(나고야)에 있는 공공문고. 豊臣秀吉이 일으킨 임진왜란 때 약탈해간 자료가 상당수 소장돼 있다. 성종24년(1493년)에 출판된 樂典(악전)인 『樂學軌範(악학궤범)』도 그 가운데 하나다. 이 악학궤범에는 <동동&g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5 15:00

포도청 이야기

포도청이야기   ​조선시대 포도청은 한성부, 즉 서울 일대의 치안을 담당하는 것을 주 업무로 한 일종의 경찰 기구인 셈이다. 조선에서는 이 외에도 형조, 한성부, 사헌부 등 삼법사(三法司)를 두거나, 죄인을 직접 구금할 수 있는 관청인 직수아문(直囚衙門)을 두어 여러관청에서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포도청은 단순히 도둑을 잡는 기관일 뿐만은 아니었다. 더 나아가 서울 도시민의 삶을 통제하는 역할도 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왕의 사적인 물리적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2 22:06

비방과 칭찬, 죄와 복 되는 경우

비방과 칭찬, 죄와 복 되는 경우 법장 스님 법문   남의 장점을 부족한 것으로 비방땐 악행나의 단점을 칭찬하면서교묘히 감추려하면 악행스스로 잘못을 참회하며나와 남 차별하지 말아야,   원효 스님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분이시며, 화쟁과 일심을 통해 우리 불교만의 사상을 확립하신 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승려라는 형식과 관념을 넘어 출가와 재가를 아우르는 포교활동으로 많은 중생들을 불교의 가르침으로 이끄신 분이다. 이런 원효 스님이 특히 중요시하셨던 계율이 바로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0 15:35

대한민국 표범의 최후

대한민국 표범의 최후 1970년 오늘 한국 마지막 표범 잃었다.   주민, 나무꾼 해치지 않던 수컷 부산서 온 포수에 총 맞고 죽어 일제강점기·해방 후 경남에 존재 국내 활동 표범은 함안서 마지막   2019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0 14:57

보부상 박승직과 두산그룹

보부상 박승직과 두산그룹   남도에서 장사 밑천 모은 보부상 박승직, 두산을 세우다.  해남에서 모은 300냥 종잣돈 삼아 10년 행상 부 축적.   방방곡곡 활동무대 산골마을 다니며 베 사들인 뒤 도매1896년 종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0 14:04

그날 제암리 이 후 화성 송산은

뜨거웠던 송산면, 일제 방화, 잔인한 고문ㆍ보복 살인   동지 이름 불까, 독립지사는 혀를 끊었다   불타오른 송산면의 삼월 군중에 총 쏜 日 순사 처단… 홍면옥ㆍ왕광연 등 28명 6월~15년刑 일제 방화로 마을 쑥대밭…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20 13:50

일본 천주교, 100년만의 반성..6.25와 분단은 일제침략 탓

일본 천주교, 100년만의 반성..6.25와 분단은 일제침략 탓   한국의 가톨릭 신자들이 일본의 침략전쟁에 협력하도록 촉구한 것과 관련, 일본 천주교에게 책임이 있다는 반성이 나왔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 따르면, 일본가톨릭정의와평화협의회장 가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12 22:16

달라이라마 14세, ‘달라이 라마’ 윤회 제도 폐지 시사

달라이라마 14세, ‘달라이 라마’ 윤회 제도 폐지 시사 티베트 독립봉기 60주년 표지인물 인터뷰서 밝혀   ▲ 티베트 독립봉기 60주년을 맞아 미국 타임지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3-11 23:02

  • 21
  • 22
  • 23
  • 24
  • 25

최신기사

2025-09-03 22:42
뉴스

안동 광흥사 응진전 국가 지정 문화유산 보물 지정 예고

2025-09-02 10:17
뉴스

무형유산 책마루 (전주)에서 열리는 가을 밤 인문학 강연

2025-09-01 14:33
뉴스

한국관광공사, ‘가족동행 청소년 꿈여행’ 참가자 500명 모집

2025-09-01 11:44
뉴스

바닷속으로 떠나는 시간 여행, 「고려난파선 수중발굴 캠프」 참가자 모집

2025-09-01 11:40
뉴스

광복 80주년 맞아 고고·건축·미술 등 분야별 문화유산 행사 풍성

인기기사

  • 1

    안동 헛제사밥

  • 2

    신라 최초의 사찰 구미 도리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