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7월 10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문화

문화

산통 깨다

산통 깨다잘돼가는 일을 중간의 어떤 사람에 의해 그 일을 망쳤을때 그 사람을 나무라며 야단치는 원망 조의 말로 이 말은 점을 보러 간 사람이 점괘가 나쁘게 나오자 산통을 깨뜨려 다음 사람이 점을 볼 수 없는 안타까운 상황을 두고 나온 말로 요즘도 널리 쓰는 말이다.대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1-10 06:36

함양 농월정

농월정은 조선중기 함양 안의면 성북마을 출신인 지족당 '박명부(朴明부, 1571~1639), 광해군 때 영창대군 죽음과 인목대비 유배에 대한 부당함을 직간하다 파직되자 고향에 돌아와 은거하며 이곳에 농월정을 짓고 심신을 수련한 곳이라고 한다. 안타깝게도 2003년 방화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1-10 05:15

금관총 발견 100년

경주 금관총 지금으로부터 꼭 100년전 금관총의 금관이 세상에 드러났다. 1921년 9월 25일 오전 9시무렵, 조선인 아이 서너 명이 모여 열심히 어떤 물건을 찾고 있었는데 파란색 유리구슬 서너 개씩을 손에 들고 있었다. 고분에서 나온 구슬이 아닐까 짐작되어 조사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08 10:15

팔공산 북지장사

팔공산 북지장사를 오르며팔공산은 지금 울긋불긋한 단풍에 물들어 춤을 덩실덩실 추는 것 같다. 북지장사는 큰 도로에서부터 걸음이 시작되지만 비포장길을 한참이나 걸어야 갈 수 있는 곳이다. 왠 만하면 포장하고 야자 매트 깔고 했을 텐데 여기는 아직까진 옛날 그대로이다. 그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08 07:11

팔공산 부인사

팔공산 부인사 부인사의 창건 연대는 정확하게 나와 있지 않다. 다만 선덕여왕 때인 7세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절에서는 오래전부터 선덕묘(善德廟)라는 사당이 있었다. 또한 이 마을에는 3월 보름마다 선덕제를 지내고 있었다. 요즘은 선덕여왕 숭모회의 주관으로 선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05 17:10

경주 서봉총

경주 서봉총(경주 대릉원 일원 노서동 고분군(사적512호)​ 일제 강점기인 1925년 경주역에서 기관차고를 짓는데 매립할 흙이 모자라자 일제는 신라 고분의 봉분 흙과 자갈을 공사장에 보내고, 유물은 유물대로 파보자는 심사로 이 고분을 파헤치기 시작하였다. 발굴 책임자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03 21:45

‘떡 만들기’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떡 만들기’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떡을 만들고 나누어 먹는 전통적 생활관습까지 포함 시킨 ‘만들기 문화’ 가 대상 -- 보유자·보유단체 없이 종목만 지정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떡 만들기’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한다. 지정 대상은 떡을 만들고,

뉴스 유시문 기자 2021-11-01 23:49

여주 신륵사

여주 신륵사 신륵사는 산지 가람이 아닌 풍광 좋은 강변에 자리를 잡았다. 월악으로 부터 시작하여 흐르는 물이 오대산의 물과 합하여 여주에 와서는 한강의 상류인 여강이 된다. 그 주위에 나지막한 봉미산이 있고, 이 산의 꼬리가 여강에 뻗어내린 가운데 신륵사를 세웠다.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0-31 10:40

조선 시대 삼척 지역 통치중심지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지정 예고

조선 시대 삼척 지역 통치중심지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강원도 삼척시에 자리한 「삼척도호부 관아지(三陟都護府 官衙址)」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 예고한다. 「삼척도호부 관아지」는 삼척이 1393년(태조 2년) 삼척부로 승격

뉴스 유시문 기자 2021-10-30 17:40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무예교과서 「무예제보」 보물된다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무예교과서 「무예제보」 보물된다- 고려·조선 시대 전적과 불교조각 등 총 7건 지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무예서로 알려진 『무예제보』를 비롯해 고려·조선 시대 전적 및 불교조각, 괘불도 등 7건에 대해 국가지

뉴스 유시문 기자 2021-10-30 17:37

여주 고달사지

고달사지 혜목산이 병풍처럼 포근히 감싸 안은 고달사지(사적 제382호)는 한눈에 보아도 아늑하고 편안해 보인다. 764년(경덕왕23)에 창건된 고달사는 고달원이라고도 한다. 고려시대에는 특히 광종 이후 역대 왕들의 비호를 받고 뻗어나갔지만 언제 폐사되었는지 분명하지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0-30 17:17

영릉

영릉 (여주 세종대왕릉)청명한 가을 햇살을 가르며 영릉으로 향했다. 평일이지만 주차장엔 벌써 많은 차들이 쉬고 있었다. 궁금해서 물어보니 매월 마지막 수요일이라서 많이 찾아온다고 했다. 입구에는 국적을 알 수 없는 건물이 가로막고 서서 매표소와 커피점, 전시관이 차지하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0-28 20:39

기록 문자로서의 ‘한글’ 그리고 한글 금속활자의 가치

기록 문자로서의 ‘한글’ 그리고 한글 금속활자의 가치2021년 5월 전후, 종로구 인사동 79번지 일원발굴조사에서 한글 금속활자를 비롯한 금속제 유물이 발견됐다. 언론에 실물이 공개되면서 세간의 관심은 무척 높아졌다. 이 활자가 ‘훈민정음’ 반포 직후에 이루어진 한글본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0-27 10:14

놀이꾼과 구경꾼이 함께 만들어 가는 임실필봉농악(任實筆峰農樂)

놀이꾼과 구경꾼이 함께 만들어 가는 임실필봉농악(任實筆峰農樂)임실 필봉농악 국가무형문화재(1988. 8. 1.)임실필봉농악은 전라북도 임실군 필봉마을 주민들이 공동체의 제사와 노동, 놀이 과정에서 연행하는 마을농악이다. 임실필봉농악은 마을농악으로서 구경꾼의 참여를 중시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0-26 20:00

15번째 세계유산, 한국의 갯벌

15번째 세계유산, 한국의 갯벌 (Getbol, Korean Tidal Flats)한반도 주변의 갯벌은 8천 5백년 정도의 역사를 가진 것으로 본다. 그 기간 동안 갯벌은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지질사로 보면 그리 길지 않은 세월이지만 인류사로 바라보면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0-26 19:47

  • 11
  • 12
  • 13
  • 14
  • 15

최신기사

2025-07-09 21:31
문화

바람에 담긴 조선의 기상과학과 문화 풍기대

2025-07-09 21:17
사진이야기

다시 빛을 찾은 역사의 돌탑

2025-07-09 20:56
뉴스

단청의 장엄하고 화려한 색채 구현한 ‘석운 홍점석’ 선생 기증전 개최

2025-07-09 20:47
뉴스

초등학생이 직접 전통 한지와 돌담 만들며 문화유산 보존 복원 이해한다

2025-06-29 16:32
뉴스

「영천 청제비」 국보 지정 기념행사 개최 (6.30.)

인기기사

  • 1

    신라의 자연재해 극복을 보여주는 비석 「영천 청제비」 국보 지정

  • 2

    다시 빛을 찾은 역사의 돌탑

  • 3

    바람에 담긴 조선의 기상과학과 문화 풍기대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